목차
책머리에: 저자의 말
인명 찾아보기
제1부
시적 현실과 영성의 세계
아가미로 숨쉬는 문명인의 일상
공시적 맥락에서 본 금강의 시적 흐름
몰입과 탕진의 시적 재현
제2부
물과 질량의 시학 : 허만하 시집『바다의 성분』
통찰의 시학 : 임강빈 시집『이삭줍기』, 마종기 시집『하늘의 맨살』
고요한 내레이터와 신명나는 퍼포먼스 : 정희성 시집『돌아다보면 문득』, 신현정 시집『바보사막』
부재의 시학 : 장석주 시집『몽해항로』, 최준 시집『뿔라부안라뚜 해안의 고양이』
소통의 연애사 : 김요일 시집『애초의 당신』, 손현숙 시집『손』, 김성대 시집『귀 없는 토끼에 관한 소수 의견』
극진한 통찰과 결기(決起) : 손택수 시집『나무의 수사학』, 이기인 시집『어깨 위로 떨어지는 편지』
상처의 경제학 : 박진성 시집『아라리』, 신정민 시집『꽃들이 딸꾹』
통각을 딛고 일어서는 성찰의 시학 : 고석종 시집『말단 형사와 낡은 폐선』
제3부
소외와 말줄임의 수사학 : 조현석 시집『울다, 염소』
공중에 풀린 영원성의 시학 : 박남희 시집『고장 난 아침』
상처받은 꽃말과 몸말의 소리 : 한문석 시집『바람개비』
관계의 복원에서 상생의 열림으로 : 조혜전 시집『기린산방』
그리움으로 향하는 꽃길의 시 : 강수완 시집『꽃, 모여서 산다』
농담의 수사와 할(喝)의 시학 : 황상순 시집『농담』
그저 달콤하기만 한 문명의 정치학 : 신혜정 시집『라면의 정치학』
고통을 딛고 일어선 비상의 꿈 : 손계정 시집『솔개』
신생의 꿈을 향한 시적 순례 : 이민화 시집『화몽』
역전(逆轉)을 통한 비움의 길 찾기 : 엄혜숙 시집 『도문(道門)』
흔적의 시학 : 하상만 시집 『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