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1948년 8월 15일, 이날 대한민국 건국과 함께 한국인은 백성이나 신민이 아닌, 비로소 ‘자유가 보장되는 개인이자 국민’으로 거듭났다. 이 사실을 사실대로 배우지 못한 학생·청소년 세대를 위해,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연구와 역사 연구에 저명한 네 명의 저자들이 핵심만 짚어 읽기 쉽게 썼다.
목차
책머리에
01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갈망했던 진정한 ‘건국’ / 강규형
02 추악한 일·소중립조약과 딱 엿새 싸우고 승전국 된 소련 / 강규형
03 일본 대표가 지팡이를 짚은 까닭은? / 정경희
04 김일성이 소련군 훈장을 가슴에 단 까닭은? / 김용삼
05 해방정국을 주도한 것은 우익이 아니라 좌익이었다 / 김용삼
06 찬탁이냐 반탁이냐? / 김용삼
07 단독정부를 먼저 수립한 것은 북한인가 남한인가? / 강규형
08 정읍연설의 목적이 단정수립? / 정경희
09 좌우합작을 추진한 미 군정 對 반공주의자 이승만 / 남정욱
10 극한으로 치달은 좌익의 투쟁 / 남정욱
11 이승만이 미국으로 간 까닭은? / 김용삼
12 유엔한국위원단이 북한에 들어가지 못한 까닭은? / 김용삼
13 김구가 변심한 까닭은? / 김용삼
14 좌익의 5·10 총선거 방해공작 / 김용삼
15 5·10 총선거와 제주 4·3사건의 관계는? / 남정욱
16 5·10 총선거에서는 친일파가 배제되었다 / 김용삼
17 5·10 총선거는 작대기 선거였다? / 정경희
18 초대 대통령 선거 결과는? / 정경희
19 앞장서 친일파를 등용한 김일성 / 남정욱
20 대한민국 초대 내각은 친일 내각? / 남정욱
21 1948년 8월 15일, 마침내 대한민국을 세우다! / 정경희
22 건국을 기념하지 않는 나라, 대한민국 / 정경희
23 대한민국 외교관 여권 제1호는? / 김용삼
24 유엔의 대한민국 승인, 그 의미와 논란 / 강규형
25 사라진 북한 땅 / 강규형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