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정신과의원 신석호 원장이 '아스퍼거 가족 모임방' 카페의 상담 전문의로 활동하면서, 부모님들이 그릇되게 인지하고 있는 정보와 개념들을 정리한 책이다. 이 책의 목적은 아스퍼거 증후군과 유사하지만 차이점을 보이는 비언어성 학습장애를 보다 자세하게 알리고자 함이다.
목차
추천사 머리말
제1장 비언어성 학습장애의 개요 1. 학습장애의 분류 2. 비언어성 학습장애란 무엇인가? 3. 비언어성 학습장애의 진단 및 평가 4. 비언어성 학습장애 진단 체크리스트(부모용) 5. 비언어성 학습장애의 유형 6. 영재이면서 동시에 학습장애(Gifted LD) 7. 어려서는 언어장애, 학령기 이후에는 시지각 발달의 어려움 8. 행동이 굼뜨거나 반응이 기민하지 못하는 시지각 발달의 어려움 9. 비언어성 학습장애라고 진단을 내릴 정도는 아니지만, 경도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 10. 비언어성 학습장애와 아스퍼거 증후군은 어떻게 다른가? 11. 비언어성 학습장애와 수학 학습 12. 비언어성 학습장애라는 진단을 최초로 받았을 때 부모의 역할
제2장 신경심리 발달의 관점으로 이해하기 1. 신경심리학적 관점으로 보는 학습장애의 분류: 실행기능의 이상과 관련 2. 인지기능과 시지각 발달 3. 조직화 기술 4. 정보처리과정의 이해 5. 시지각 발달의 어려움을 야기하는 유전질환들 6. 언어성 학습장애
제3장 아스퍼거 증후군의 개관 1. 아스퍼거 증후군이란 무엇인가? 2. 아스퍼거 증후군의 역사적 변천 3. 아스퍼거 증후군의 진단과정 및 진단기준 4. 성인기의 아스퍼거 증후군 5.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 6. 아스퍼거 증후군의 경과와 장기적인 예후 7. 아스퍼거 증후군의 오해와 편견들 8. 아스퍼거 증후군과 장애등록 9. 아스퍼거 증후군과 비언어성 학습장애에 연관된 정신과적 문제들 10. 만 5세 이하의 아동이 아스퍼거 증후군일 가능성을 염려하는 경우
제4장 사회성의 발달 1. 사회성의 정의 2. 영유아기의 정상적인 사회성 발달 3. 사회성 인지를 이해하기 4. 마음의 이론: 마음읽기 능력 5. 사회성 두뇌 6. 사회성 학습장애 7. 지능이 정상 범주이면서 사회성 발달이 떨어질 수 있는 소아청소년정신과적 문제들 8. 일상에서 마음의 이론이 적용되는 사례들
제5장 비언어성 학습장애와 아스퍼거 증후군의 치료 및 중재 1. 치료적 접근: 총론 2. 시지각 발달훈련: 비언어성 학습장애와 아스퍼거 증후군을 위한 인지치료 3. 마음의 이론을 개선하기 4. 조직화 기술 훈련 5. 학습 상황에서 주의집중력 향상 프로그램 내용 6. 비언어성 학습장애-가정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노력들 7. 사회성 인지를 향상시키는 인지치료 8. 사회성 증진 소그룹 프로그램 9. 아스퍼거 증후군의 연령대별 치료적 접근방식: 사회성을 중심으로 10. 청소년을 위한 치료적 접근의 특성 11. 성인기에서 사회성 수준에 입각한 치료방식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결정 증진 전략2010 / Michael L. Wehmeyer ; Martin Agran ; Carolyn Hughes ; James E. Martin ; Dennis E. Mithaug ; Susan B. Palmer 공저 ; 이숙향 역 / 학지사
함께하는 법을 배우다 : 비장애인들을 위한 발달장애 아동들의 이야기 2020 / 지음: 배수정 ; 그림: 서문지윤 / 지식과감성
함께하는 법을 배우다 : 비장애인들을 위한 발달장애 아동들의 이야기 2020 / 지음: 배수정 ; 그림: 서문지윤 / 지식과감성
발달장애 청소년 자립생활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 가정과 학교에서 실천하는 증거기반 특수교육 안내서 2021 / 지음: 변관석 / 이담Books :
정서행동장애학생의 이해와 교수전략2010 / Terry L. Shepherd 지음 ; 박계신, 이효신, 황순영 옮김 / 시그마프레스
SCERTS 모델: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위한 종합적 교육 접근. 1권, 진단2014 / 공저: Barry M. Prizant; Amy M. Wetherby; Emily Rubin; Amy C. Laurent; Patrick J. Rydell; 공역: 이소현; 윤선아; 박현옥; 이수정; 이은정; 박혜성; 서민경; 정민영 / 학지사
SCERTS 모델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위한 종합적 교육 접근. 2권 프로그램 계획 및 중재2016 / 공저: Barry M. Prizant, Amy M. Wetherby, Emily Rubin, Amy C. Laurent, Patrick J. Rydell ; 공역: 이소현, 윤선아, 박현옥, 이수정, 이은정, 박혜성, 서민경, 정민영 /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