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체적 맥락에서의 언어 사용을 다루는 화용적 관점에서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의 여러 문제들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우선 소통의 정의와 요소들을 살펴보면서 기존 논의의 문제점들을 인문학적 시각에서 재검토하고, 대화의 원리에 대해 그라이스의 이론과 적합성 이론 및 레빈슨, 하버마스 등의 이론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목차
서문
1 소통과 언어 1. 소통과 커뮤니케이션 1.1 위대한 소통 1.2 소통의 정의 2. 의사소통의 모델 2.1 전달 모델 2.2 언어 연쇄 2.3 수렴 모델 2.4 구성주의 모델 3. 의사소통의 요소 3.1 송신자 3.2 수신자 3.3 메시지 3.4 채널 3.5 되먹임 3.6 잡음 3.7 세팅 참고문헌
2 대화의 원리 1. 소통의 두 얼굴 2. 대화와 협조 2.1 그라이스의 대화 원리 2.2 대화함축 2.3 격률 지못미 2.4 격률과 문화 2.5 언어적 협조와 사회적 협조 3. 적합성 이론 3.1. 적합성과 소통 3.2 의사소통의 목표 3.3 의도 4. 레빈슨의 함축 이론 4.1 의미의 층위 4.2 추론의 원리 4.3 추론의 상호작용 5. 하버마스의 언어 사용 이론 5.1 보편화용론 5.2 타당성 주장 5.3 사회적 행동 참고문헌
3 언어 행위와 소통 1. 행위로서의 말하기 1.1 언어 행위의 예 1.2 사회적 언어 행위 2. 언어 행위 2.1 언어 행위의 세 측면 2.2 발화수반력 표시 장치 2.3 언어 행위의 적정성 2.4 언어 행위의 유형 3. 사과 행위 3.1 사과의 정의 3.2 사과하기 3.3 사과 행위의 적정 조건 3.4 사과 행위의 실현 방법 3.5 문화적 측면 3.6 사과는 어려워 3.7 사과인 듯 사과 아닌 사과 같은 행위 4. 언어 행위 발화의 구조 4.1 주요부와 주변부 4.2 수식 5. 간접 언어 행위 5.1 언어 행위의 직접성 5.2. 간접 언어 행위의 종류 참고문헌
4 언어적 공손 현상 1. 언어적 공손 1.1 우리를 둘러싼 공손과 예의 1.2 동양적 공손과 예의 개념 1.3 서양적 공손과 예의 개념 2. 공손의 규칙과 원리 2.1 레이코프의 공손 규칙 2.2 리치의 공손 원리 2.3 브라운과 레빈슨의 공손 이론 3. 스펜서-오티의 조화관계 이론 3.1 체면 다시 보기 3.2 조화관계의 요인 3.3 조화관계 지향 3.4 비동의 행위와 조화관계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주제어 찾아보기 표 목록 그림 목록
서가브라우징
다이버, 제주 바다를 걷다2015 / 강영삼 글·사진 / 지성사
전국 600산 등산지도 : 정상에 도전하는 바른 길잡이2016 / 제작: 성지문화사 기술부 / 성지문화사
라이프 노 리미츠2014 / 김명준 지음 / 동아일보사
독수리사냥2013 / 이장환 찍고씀 / 삼인
언어학사강의2016 / 지음: 권재일 / 박이정
언어 산출 과정에 대한 학제적 접근 = Language production processe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 담화·텍스트·화용 연구2015 / 김지홍 지음 / 경진출판
사라질 것 같은 세계의 말2018 / 글: 요시오카 노보루 ; 그림: 니시 슈쿠 ; 옮김: 문방울 / Seedpaper
소통의 화용론 :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화용적 접근2015 / 이성범 저 / 한국문화사
음식과 언어 : 식문화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연구2013 / 이성범 지음 / 서강대학교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