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형식 언어의 도구가 자연 언어의 모든 현상을 다루기에는 불충분하다는 것을 인식했다. 그는 정말로 필요한 것은, 형식 논리가 아니라 인지 이론, 즉 논리학자가 우연히 사용한 수학 체계의 능력보다 오히려 인간 마음의 역량에 근거한 이론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목차
지은이의 말
옮긴이의 말
책머리에
감사의 말
머리말: 무대 뒤 인지
0.1 방법론과 경험적 토대
0.2 연구 주제
0.2.1 의미
0.2.2 방법에 대한 더 많은 얘기
0.2.3 형태
0.3 내용과 형식화
0.4 정신 공간 연구의 발달
0.4.1 정신 공간: 정신 공간은 무엇이 아닌가?
0.4.2 시간과 시제, 상相
0.4.3 서법과 인식 태도
0.4.4 화용적 중의성
0.4.5 인지적 사상
0.4.6 결과
들어가면서
제1장 화용적 함수와 영상
1.1. 연결자
1.2. 영상
1.3. 현실
1.4. 정신 공간
1.4.1. 공간 도입 표현
1.4.2. 연결자와 대응물
1.5. 부정 표현의 작용역
1.6. 단순한 모호성
1.6.1. 시간 공간
1.6.2. 공간 공간
1.6.3. 영역 공간
1.6.4. 가정 공간
1.6.5. 시제와 서법
제2장 역할과 다중 연결자
2.1. 여러 공간에 걸친 대명사
2.1.1. 다중 연결자
2.1.2. 다중 대응물
2.1.3. 다중 기술
2.2. 역할
2.3. 단층 동치성
2.4. 부정 표현
2.5. 이름과 역할
제3장 전제: 유동, 전이, 투사전략
3.1. 예비적 고찰
3.2. 전제와 정신 공간
3.2.1. 규칙과 전략
3.2.2. 시험 사례
3.3. 결합, 취소, 예전의 절차 의미론적 접근에 대한 고찰
3.4. 전제 전이
제4장 반反사실적 조건문과 비교 표현
4.1 반反사실적 조건문
4.2 비교 표현
제5장 공간 횡단 조작자와 철학적 쟁점, 미래 전망
5.1 공간 횡단 조작자
5.1.1 Be
5.1.2 다른 공간 횡단 조작자
5.2 철학적 쟁점
5.3 더 많은 문제와 몇 가지 사변
해설
1. 정신 공간이란?
2. 명사구 의미론
3. 전제의 투사
4. 반사실적 조건문
참고문헌
찾아보기
용어
인명
저자 및 역자 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