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독도의 자연과 지리적 중요성을 역설한 생태보고서. 독도 해역의 기상학적인 요인과 해류, 수온의 성격, 염도의 밀도, 영양 염류와 해양 생산 구조, 식물플랑크톤과 물꽃 현상, 해중림과 어장형성, 독도에 자생하는 식생과 괭이갈매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목차
화보 : 독도의 자연 경관
서문
제1장 독도의 기후
1. 독도 해역의 기후
2. 독도와 명칭
3. 우리나라의 바다-해양의 중요성
제2장 독도의 해류와 일본 교과서 해설서
1. 독도 해역의 해류
2. 독도와 일본의 교과서 해설서
3. 반도자연, 우리 민족의 우수성
제3장 독도 해역의 수온과 일본의 해양조사
1. 독도 해역의 수문학적 성격-수온
2. 일본의 해양조사와 해저자원
3. 독도와 샌프란시스코 협약
제4장 독도 해역의 염도와 일제 강점기
1. 독도 해역의 수문학적 성격-염도
2. 일제 강점기와 열강 속의 한국인
3. 진화, 인간의 극상시대
제5장 독도 근해의 영양염류
1. 독도 해역의 영양염류의 개요
2. 일본의 해양 양식
3. 일본의 독도에 대한 강박증-국제사법 재판소
제6장 독도 해역의 식물성 플랑크톤과 해양 생산
1. 식물 플랑크톤
2. 독도 근해의 해양 생산
3. 해양과학으로 일본을 앞서고 싶은 마음
제7장 독도의 해중림海中林
1. 독도의 해중림과 생태계
2. 세계의 해중림
3. 센카쿠 열도의 중·일 갈등
제8장 독도의 식생
1. 독도의 식생
2. 자연이 다른 두 나라-왜구와 임진왜란
3. 민족의 수난기와 독도
제9장 독도의 괭이갈매기
1. 독도의 괭이갈매기 군락
2. 3·1 운동 직후의 제암리 학살사건과 독도함
3. 바다의 약육 강식-대륙봉의 의미
제10장 독도의 경관적 중요성
1. 독도의 해양 경관은 자연의 명미-다양한 생태계
2. 독도의 육상 경관
3. 격랑과 해양학
제11장 독도의 지정학적 중요성
1. 독도는 군사적 가치
2. 종군위안부의 고통
3. 망상어, 그리고 아귀와 메기
제12장 독도 연구는 국가 발전의 초석
1. 독도 연구는 국가발전의 초석
2. 독도 연구의 활성화 방안
3. 독도에 대한 사실과 공생 공락의 길
참고문헌
에필로그
바다 자연, 멸치와 고래
둥글게 살자
동물의 세계
아름다운 마음
수수깡 인생
에어 프랑스
객고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