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의 근현대사를 능동적으로 발전시켜 온 우리 출판과 독서운동의 역사를 조명하고, 디지털시대의 문화산업을 리드하는 원천 콘텐츠로서의 출판의 가치를 웅변하고, 정치·경제·사회문화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출판정책을 고찰하고 있다.
목차
제1장 한국 근현대사와 함께 한 우리 출판
1. 우리의 근대화를 이끈 개화기 출판
2. 일제 탄압 속 국권 회복 차원의 출판활동
3. 해방과 전쟁 중에도 건국에 동참했던 출판활동
4. 경제 발전과 출판산업의 확장
5. 민주화의 큰 밑거름, 1980년대 출판활동
6. 사회‧경제‧문화의 변화에 대응해 간 1990년대 출판활동
7. 디지털 시대의 국가 위상 제고와 함께한 2000~2010년대 출판활동
제2장 디지털 시대의 출판산업과 문화산업
1. 문화산업으로서의 출판산업
2. 문화산업(콘텐츠산업) 현황
3. 디지털 시대의 출판산업의 현황과 동향
4. 디지털 환경에 대응하는 출판산업의 전략
5. 문화산업(콘텐츠산업) 진흥의 방향과 정책
6. 출판산업 진흥의 방향과 정책
7. 문화산업으로서의 출판산업의 당면 과제
8. 출판산업과 문화산업의 동반 발전을 위한 제언
제3장 출판 미디어와 출판정책
1. 출판 미디어에 요구되는 출판정책
2. 출판정책의 범주와 유형
3. 출판정책의 법적 근거와 목표
4. 우리나라 출판정책의 변천과 특징
5. 출판정책의 과제와 해결 방안
제4장 출판 공교육의 위기와 출판교육의 위상 정립
1. 출판교육이 위태롭다
2. 출판 공교육의 위기와 그에 따른 문제점
3. 출판교육의 올바른 위상 정립
제5장 2000년대 출판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
1. 출판학 연구의 중심, [한국출판학연구]
2. 출판학 정립 관련 선행연구
3. 2000년대 출판학 연구의 동향과 특성
4. 출판학 연구의 전망과 제언
제6장 우리나라 독서운동의 역사와 의미
1. 우리의 근대화를 이끈 개화기 독서운동
2. 일제 탄압 속 국권 회복 차원의 독서운동
3. 해방과 전쟁 중에도 건국에 동참했던 독서운동
4. 1960년대-경제개발과 교양시대를 연 독서운동
5. 1970년대-산업화와 도시화 현상 속의 독서운동
6. 1980년대-대중 속으로 파고든 독서운동
7. 1990년대-사회‧경제‧문화의 변화에 대응해 간 독서운동
8. 2000년대-디지털 환경 변화 속의 독서운동
9. 2010년대-출판, 독서, 도서관을 잇는 통합 정책 요구
제7장 ‘휴마트 사회’의 새로운 독서환경
1. 스마트 시대에 요구되는 독서환경
2. ‘스마트 사회’의 미디어 생태학적 손실
3. ‘휴마트 사회’의 독서
4. 독서운동으로서의 ‘휴마트 운동’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