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선으로 엮인 한국과 일본의 관계, 과거와 현재의 역사를 방대한 자료 조사와 인터뷰로 풀어낸 책이다. 저자는 한일 양국의 수산업 교류 현황을 꼼꼼한 통계를 통해 짚어보았고, 권말의 참고도서 중 한국어로 된 저서와 논문의 수가 53편에 달할 정도로 한국 수산업의 역사와 문화를 철저하게 연구했다.
목차
책머리에- 산항 국제여객 부두에서
제1장 한일 생선 교류의 현재 ─ 수산물 거래 현장을 가다 부산 남항과 부산공동어시장 부산국제수산물도매시장 ─ 한국 수산물 수출입 현황 조기와 명태 한일 수산물 교류 한일 수산물 무역 현장을 가다 넙치 양식장에서 한국 양식사를 살펴본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한일 수산물 무역
제2장 먹장어구이의 생활문화사 ─ 그 기원을 찾아 자갈치시장의 먹장어구이 먹장어라는 물고기 먹장어구이의 기원을 찾아서 니가타에서의 먹장어 조사 니가타와 조선을 잇는 ‘선’ 부산에서 이루어진 먹장어 이용 연구 먹장어구이의 보급 피혁 공장을 찾아서 자갈치시장 부산과 곰장어
제3장 임시 수도 부산 피난민의 생활 기록 ─ 한국전쟁 와중에 굳세어라 금순아 한국전쟁 ‘1·4후퇴’ 흥남 철수 판잣집 영도다리 국제시장 배달되지 않은 편지 ─ 북쪽 사람들의 육성 어느 실향민 2세의 이야기 ─ 피난민의 생활 기록 월남 ─ 평안북도 용천에서 서울까지 부산 영도에 정착 ─ ‘요코’ 공장의 일 아버지의 마음을 생각한다 실향민 2세로서 통일에 대한 생각
제4장 명태와 북어 ─ 한국 재래 수산업의 과거와 현재 명태 ─ 한국에서 사랑받아온 생선 민간신앙 속의 북어 ─ 그 영험한 힘은 어디에서 올까 명태 어업, 자망 작업과 주낙 작업 덕장 ─ 북어 제조 공정 강원도 속초 ─ 명태잡이와 아바이마을 거진항에서 설악산 황태 덕장으로
제5장 식민지와 학문 ─ 어류학자 정문기와 우치다 게이타로 정문기, 조선산 어류 연구로의 길 시부사와 게이조와의 만남 시부사와 게이조와 조선인 유학생 조선 농촌 조사 ─ 유학생 강정택 조선총독부 수산시험장과 우치다 게이타로 식민지성의 잔재 ─ 정문기의 문제 우치다가 말하지 않은 사실 유리판에 갇힌 물고기
제6장 일본의 식민지 통치는 무엇을 남겼는가 ─ 명태잡이를 둘러싸고 명태 관련 산업 ─ 객주의 지배 체제 일본 어업자가 주도한 명태 기선저인망 어업 ‘조선인어민의 몰락’론을 검토한다 개발이란 무엇이었는가
제7장 갯장어의 여행 ─ 남해에서 교토로 교토시 중앙도매시장 ─ 기온 축제에서의 갯장어 수산업이 왕성한 통영 갯장어잡이 현장으로 ─ 경상남도 고성 일본 어업자의 조선 이주 조선의 오카야마촌 활어 운반선 공수되는 갯장어
마지막 장 해협을 건너는 바람을 타고 ─ 시모노세키에서 부산으로 해협 도시 시모노세키 한일 수산물 무역의 또 한 현장인 시모노세키항에서 활어차 2,000킬로미터의 여행 A씨와 다닌 영도 여행의 끝에서 ─ 동삼동 패총 유적으로 바다를 향한 기원
후기를 대신해서 참고문헌 색인
서가브라우징
(수의사가 가장 많이 듣는 질문 254개를 모은) 집사의 매뉴얼 2019 / 지음: 냥캐스트 / 위즈덤하우스 :
냥이가 임신을 했어요 : 임신과 출산 2020 / 지은이: 장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어업의 품격 : 건강한 해양생태계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2020 / 지음: 서종석 / 지성사
어업의 품격 : 건강한 해양생태계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2020 / 지음: 서종석 / 지성사
21세기 동북아 해양전략 : 경쟁과 협력의 딜레마2015 / 지음: 임경한 / 북코리아
(정석근 교수의) 되짚어보는 수산학 : 파렴치범이 된 대한민국 어민들 2022 / 지음: 정석근 / Beto(베토) :
(정석근 교수의) 되짚어보는 수산학 : 파렴치범이 된 대한민국 어민들 2022 / 지음: 정석근 / Beto(베토) :
한일 피시로드, 흥남에서 교토까지 : 일본 저널리스트가 탐구한 한일 생선 교류의 역사2014 / 다케쿠니 도모야스 지음 ; 오근영 옮김 / 따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