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불평등한 한국에 대한 진단과 대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이 책에서 진단하고 있는 불평등의 범위는 소득, 임금, 교육, 노동, 젠더, 복지, 조세, 제정, 건강, 주거, 지역, 경제 구조 등 매우 포괄적이며 광범위하다. 그만큼 한국 사회에 불평등이 만연해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목차
책을 펴내며
서문 한국 사회의 불평등을 말하다 / 이창곤
제1부 진단
1 한국은 왜 살기 어려운 나라인가? / 이정우
2 중산층 위기 / 신광영
3 한국 사회의 불평등 담론 / 김윤태
4 평등, 반복지의 정치, 민주주의 / 고세훈
5 복지는 왜 불평등 완화에 기여하지 못했나? / 이태수
6 경제민주화와 동반성장 / 정운찬
7 재벌 개혁이 경제민주화의 출발점 / 김상조
8 한국의 소득 불평등 / 김낙년
9 한국의 임금 불평등 / 김유선
10 청년 취업과 청년들의 대응 / 최장집
11 노동시장 개혁 없이 불평등 해결 없다 / 이병훈
12 젠더 불평등과 진보적 가치 / 장지연
13 교육은 불평등을 치유할 수 있는가? / 신명호
14 건강 불평등의 현상과 의미 / 김창엽
15 만들어진 불평등, 지역격차 / 조명래
제2부 대안
16 불평등 해소를 위한 경제 모델 / 김형기
17 불평등과 특권 / 김윤상
18 헨리 조지와 토마 피케티, 그리고 종합부동산세 / 전강수
19 기로에 선 주거 불평등 문제와 개선 과제 / 변창흠
20 재정의 시선으로 본 한국의 불평등 / 윤영진
21 불평등 해소를 위한 세제 개혁 / 강병구
22 한국의 불평등과 사회적 경제 / 정태인
23 한국 복지국가의 미래: 중조세-중복지를 위한 제언 / 임현진
24 사회투자 복지국가로의 새로운 항로 / 이혜경
25 복지국가, 불평등 해소의 대안인가? / 김연명
26 불평등에 대한 도전: 참여정부의 복지·국가균형발전 정책 / 성경륭
27 사회권과 민주주의 / 이종오
28 한국 사회의 불평등과 정치의 역할 / 박상훈
제3부 대담 이정우 교수에게 불평등을 묻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