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 한국어 음성 음운 교육론
  • 한국어 음성 음운 교육론

    발행연도 - 2013 / 박시균 지음 / 한국문화사
    • 도서관 송도국제도서관
    • 자료실 송도국제기구도서관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SL0000006057
    • ISBN 9788968170980
    • 형태 xv, 406 p. 26 cm
    • 한국십진분류 언어 > 한국어 > 음운, 음성, 문자
    • 카테고리분류 인문 > 기호/논리/언어학 > 국어학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일러두기
머리말

01 도입
1.1 한국어의 위상
1.2 한국어 교육 내에서의 한국어 발음교육

02 음성학과 음운론
2.1 음성학의 종류
2.2 조음의 기제
2.2.1. 자음을 구분하는 기준
2.2.2. 자음과 모음의 차이점
2.2.3. 모음을 구분하는 기준
2.3 말소리의 음향적 특성
2.3.1. 말소리의 음향적 특성 및 음향적 연구가 중요한 이유
2.3.2. 음파(sound wave)
2.3.3. 스펙트럼(spectrum)
2.3.4. 스펙트로그램
2.3.5. 한국어의 자음의 음향적 특성
2.3.6. 한국어의 모음의 음향적 특성
2.3.7. 한국어의 초분절 요소의 음향적 특성
2.4 말소리의 청음, 인지, 언어처리
2.4.1. 언어처리와 뇌의 기본구조
2.4.2. 뇌의 언어처리 부분과 실어증
2.4.3. 언어와 관련된 뇌 연구 방법
2.4.4. 의료 영상기술을 활용한 뇌 관찰 방법
2.4.5. 언어처리와 심리언어학
2.5 일반 음운론과 한국어 음운론
2.5.1. 일반 음운론
2.5.2. 한국어 음운론

03 한국어의 자음
3.1 자음과 모음의 차이
3.2 한국어의 자음체계
3.2.1. 조음위치에 따른 분류
3.2.2.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3.2.3. 성대진동
3.2.4. 기식 및 긴장도
3.3 한국어와 타 언어의 자음체계 비교
3.3.1. 한국어와 영어의 자음체계 비교
3.3.2. 한국어와 일본어의 자음체계 비교
3.3.3. 한국어와 중국어의 자음체계 비교
3.4 한국어 자음의 교육 방안
3.4.1. 자음 교육 모형
3.4.2. 자음 교육 방안

04 한국어의 모음
4.1 단순모음과 이중모음
4.2 한국어의 단순모음
4.2.1. 한국어의 단순모음 수
4.2.2. 단순모음 분류 기준
4.2.3. 한국어 단순모음 체계
4.3 한국어의 이중모음
4.3.1. [w]-계 이중모음
4.3.2. [j]-계 이중모음
4.3.3 [ɰ]-계 이중모음
4.4 한국어와 타 언어의 모음체계 비교
4.4.1. 한국어와 영어의 모음체계 비교
4.4.2. 한국어와 일본어의 모음체계 비교
4.4.3. 한국어와 중국어의 모음체계 비교
4.5 한국어 모음의 교육 방안
4.5.1. 모음 교육 모형
4.5.2. 모음 교육 방안

05 강세와 억양
5.1 강세(stress)
5.1.1. 언어의 운율 유형에 따른 분류
5.1.2. 표준 한국어의 강세
5.2 억양
5.2.1. 말토막, 말마디, 문장
5.2.2. 말마디 억양과 핵억양
5.2.3. 핵억양의 종류
5.3 한국어 강세와 억양의 교육 방안
5.3.1. 강세와 억양 교육 모형
5.3.2. 강세와 억양 교육 방안

06 음절구조 및 제약
6.1 음절의 정의
6.2 한국어에서의 음절
6.2.1. 한국어의 음절구조
6.2.2. 한국어의 음절화
6.2.3. 음절구조제약
6.3 제약
6.3.1. 음소구조제약
6.3.2. 단어구조제약
6.3.3. 음소배열제약
6.3.4. 음절배열제약
6.3.5. 단어배열제약
6.4 한국어와 타 언어의 음절구조 비교
6.4.1. 한국어와 영어의 음절구조 비교
6.4.2. 한국어와 일본어의 음절구조 비교
6.4.3.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구조 비교
6.5 한국어의 음절구조 교육 방안
6.5.1. 음절구조 교육 모형
6.5.2. 음절구조 교육 방안

07 음운현상
7.1 음운현상의 정의
7.2 음운현상의 유형
7.3 음운현상의 실제 예
7.3.1. 대치
7.3.2. 탈락
7.3.3. 첨가
7.3.4. 축약

08 자음의 음운현상
8.1 대치
8.1.1. 음절말 평폐쇄음화
8.1.2. 비음동화(비음화)
8.1.3. /ㄹ/의 비음화
8.1.4. 순행적 유음화
8.1.5. 역행적 유음화
8.1.6. 조음위치동화
8.1.7. 구개음화
8.1.8. (대치로서의) 경음화
8.2 탈락
8.2.1. /ㅎ/-탈락
8.2.2. /ㄹ/-탈락
8.2.3. /ㄷ/-탈락
8.2.4. 자음군 단순화
8.3 첨가
8.3.1. /ㄴ/-첨가
8.4 축약
8.4.1. 유기음화
8.4.2. (축약으로서의)경음화
8.5 한국어 자음의 음운현상 교육 방안
8.5.1. 자음의 음운현상 교육 모형
8.5.2. 자음의 음운현상 교육 방안

09 모음의 음운현상
9.1 대치
9.1.1. 반모음화
9.1.2. 모음의 완전순행동화
9.1.3 /ㅣ/-모음 역행동화(움라우트)
9.1.4. 원순모음화
9.1.5. 비원순모음화
9.1.6. 전설모음화
9.1.7. 모음조화
9.1.8. 단모음화(短母音化)
9.2 탈락
9.2.1. /ㅡ/-탈락
9.2.2. /ㅏ, ㅓ/-탈락(동일모음 탈락)
9.2.3. /ㅣ/-탈락([j]-탈락)
9.2.4. /ㅗ, ㅜ/-탈락([w]-탈락)
9.3 첨가
9.3.1. 반모음 첨가([j,w]-첨가)
9.4 축약
9.4.1. 단수모음 축약
9.4.2. 이중모음 축약
9.5 한국어 모음의 음운현상 교육 방안
9.5.1. 모음의 음운현상 교육 모형
9.5.2. 모음의 음운현상 교육 방안

부록 1 한글 맞춤법
부록 2 표준어 규정
부록 3 외래어 표기법
부록 4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찾아보기
참고 논저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읽고 쓰기를 위한) 한국어 문법  : TOPIK을 위한 문법 (읽고 쓰기를 위한) 한국어 문법 : TOPIK을 위한 문법 2018 / 지은이: 이현희 ; 신호철 ; 이화진 ; 배현대 ; 김보경 ; 이은선 ; 유슬기 ; 김두희 / 한국문화사
한글필사문헌과 사전 편찬 한글필사문헌과 사전 편찬 2012 / 박재연 지음 / 역락
(향문천의) 한국어 비사  : 천 년간 풀지 못한 한국어의 수수께끼  (향문천의) 한국어 비사 : 천 년간 풀지 못한 한국어의 수수께끼 2024 / 지음: 향문천 / 김영사
식민지 조선의 언어 지배 구조  : 조선어 규범화 문제를 중심으로  = (The) dominance of language in colonial Korea : regulation policies for the Korean language 식민지 조선의 언어 지배 구조 : 조선어 규범화 문제를 중심으로 = (The) dominance of language in colonial Korea : regulation policies for the Korean language 2013 / 미쓰이 다카시 지음 ; 임경화 ; 고영진 옮김 / 소명출판
세종, 한글로 세상을 바꾸다  : 소통과 어울림의 글자 한글 이야기 세종, 한글로 세상을 바꾸다 : 소통과 어울림의 글자 한글 이야기 2013 / 김슬옹 지음 ; 조경규 그림 / 창비
한국어의 표기와 발음 한국어의 표기와 발음 2012 / 박창원 저 / 지식과교양
Korean Trendy Voca 40 Korean Trendy Voca 40 2015 / 한이재미 지음 / 한글파크
한국어 음성 음운 교육론 한국어 음성 음운 교육론 2013 / 박시균 지음 / 한국문화사
표준어의 음운현상에 대한 연구 표준어의 음운현상에 대한 연구 2013 / 엄태수 저 / 박문사
(국어 교육을 위한)현대 국어 음운론 (국어 교육을 위한)현대 국어 음운론 2013 / 이문규 지음 / 한국문화사
말: 바른말이 힘이다 말: 바른말이 힘이다 2021 / 이종구 지음 / 말.글
국어의 후두음 연구 국어의 후두음 연구 2013 / 조경하 지음 / 지식산업사
조선시대의 훈민정음 발달사  : 조선시대의 훈민정음 보급과 활용의 통합언어학적 연구 조선시대의 훈민정음 발달사 : 조선시대의 훈민정음 보급과 활용의 통합언어학적 연구 2012 / 김슬옹 지음 / 도서출판 역락
한글 이야기. 1 - 2 한글 이야기. 1 - 2 2013 / 홍윤표 / 태학사
한글 이야기. 1 - 2 한글 이야기. 1 - 2 2013 / 홍윤표 / 태학사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한국어 문법 어떻게 가르치는가? 한국어 문법 어떻게 가르치는가? 2013 / 백봉자 지음 / 하우
(읽고 쓰기를 위한) 한국어 문법  : TOPIK을 위한 문법 (읽고 쓰기를 위한) 한국어 문법 : TOPIK을 위한 문법 2018 / 지은이: 이현희 ; 신호철 ; 이화진 ; 배현대 ; 김보경 ; 이은선 ; 유슬기 ; 김두희 / 한국문화사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1, 체계 편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1, 체계 편 2012 / 지음: 국립국어원 / 커뮤니케이션북스
고대로부터의 통신 고대로부터의 통신 2004 / 한국역사연구회 고대사 분과 지음 / 푸른역사
한국어의 말소리 한국어의 말소리 2011 / 신지영 저 / 지식과 교양
언어학개론 언어학개론 1999 / 남기심 ; 이정민 ; 이홍배 공저 / 탑출판사
언어학과 인문학 언어학과 인문학 1999 / 권재일 외공저 / 서울대
한국어 발음 교육 한국어 발음 교육 2003 / 한재영...[등]집필 / 한림출판사
우리말 소리의 체계 우리말 소리의 체계 2003 / 신지영 ; 차재은 공저 / 한국문화사
한국어 음운론 한국어 음운론 2003 / 강옥미 [저] / 태학사
(외국어로서의)한국어 발음 교육론 (외국어로서의)한국어 발음 교육론 2006 / 허용 ; 김선정 [공]지음 / 박이정
(외국어로서의)한국어 교육론 (외국어로서의)한국어 교육론 2001 / 박영순 저 / 월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와 어휘  = Korean culture vocabulary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와 어휘 = Korean culture vocabulary 2014 / 신호철 ; 이현희 ; 배현대 ; 박아현 ; 김보경 ; 오지영 ; 이진주 ; 김의정 ; 안경숙 ; 김미정 / 한국문화사
한국의 옛날이야기로 배우는 한국어 한국문화 한국의 옛날이야기로 배우는 한국어 한국문화 2015 / 이은자 ; 이승민 그림 / 역락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어이없이 틀리는) 우리말 맞춤법 500 (어이없이 틀리는) 우리말 맞춤법 500 2013 / 여문주 지음 ; 김조운 그림 / 인이레
한글의 발명 : 한글 연구의 차원을 바꾼 심도 깊은 역작 한글의 발명 : 한글 연구의 차원을 바꾼 심도 깊은 역작 2015 / 지음: 정광 / 김영사
(달인의) 띄어쓰기·맞춤법 : 한국인이 가장 잘 틀리는 우리말 5500제 (달인의) 띄어쓰기·맞춤법 : 한국인이 가장 잘 틀리는 우리말 5500제 2021 / 편저자: 최종희 / 국민출판
맞춤법을 알고 나니 사회생활이 술술 풀렸습니다 맞춤법을 알고 나니 사회생활이 술술 풀렸습니다 2019 / 지음: 함정선 / 메이트북스
우리 글 바로 쓰기. 5 우리 글 바로 쓰기. 5 2009 / 이오덕 지음 / 한길사
한글 이야기. 1 - 2 한글 이야기. 1 - 2 2013 / 홍윤표 / 태학사
한글 이야기. 1 - 2 한글 이야기. 1 - 2 2013 / 홍윤표 / 태학사
(차곡차곡 익히는)우리말 우리글. 1: 단계별 어문 규범 길라잡이 (차곡차곡 익히는)우리말 우리글. 1: 단계별 어문 규범 길라잡이 2012 / 이관규 외 지음 / 박이정
한판 붙자, 맞춤법! 한판 붙자, 맞춤법! 2020 / 지음: 변정수 / 뿌리와이파리
안녕? 나의 한글 맞춤법 안녕? 나의 한글 맞춤법 2017 / 지음: 엄지인 ; 일러스트: 곽수진 / 다락원
한글전쟁 : 우리말, 우리글, 5천년 쟁투사 한글전쟁 : 우리말, 우리글, 5천년 쟁투사 2014 / 김흥식 지음 / 서해문집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 한국어 사용자의 필독서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 한국어 사용자의 필독서 2013 / 김남미 지음 / 나무의철학
한국어의 표기와 발음 한국어의 표기와 발음 2012 / 박창원 저 / 지식과교양
(틀리기 쉬운)우리말 바로 쓰기 (틀리기 쉬운)우리말 바로 쓰기 2015 / 지음: 정재윤 / 현북스
(유광종의 지하철)한자 여행 : 역명에 담긴 한자, 그 스토리와 문화를 읽다. 2 (유광종의 지하철)한자 여행 : 역명에 담긴 한자, 그 스토리와 문화를 읽다. 2 2016 / 유광종 글 / 책밭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3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1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2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