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러두기
머리말
01 도입
1.1 한국어의 위상
1.2 한국어 교육 내에서의 한국어 발음교육
02 음성학과 음운론
2.1 음성학의 종류
2.2 조음의 기제
2.2.1. 자음을 구분하는 기준
2.2.2. 자음과 모음의 차이점
2.2.3. 모음을 구분하는 기준
2.3 말소리의 음향적 특성
2.3.1. 말소리의 음향적 특성 및 음향적 연구가 중요한 이유
2.3.2. 음파(sound wave)
2.3.3. 스펙트럼(spectrum)
2.3.4. 스펙트로그램
2.3.5. 한국어의 자음의 음향적 특성
2.3.6. 한국어의 모음의 음향적 특성
2.3.7. 한국어의 초분절 요소의 음향적 특성
2.4 말소리의 청음, 인지, 언어처리
2.4.1. 언어처리와 뇌의 기본구조
2.4.2. 뇌의 언어처리 부분과 실어증
2.4.3. 언어와 관련된 뇌 연구 방법
2.4.4. 의료 영상기술을 활용한 뇌 관찰 방법
2.4.5. 언어처리와 심리언어학
2.5 일반 음운론과 한국어 음운론
2.5.1. 일반 음운론
2.5.2. 한국어 음운론
03 한국어의 자음
3.1 자음과 모음의 차이
3.2 한국어의 자음체계
3.2.1. 조음위치에 따른 분류
3.2.2.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3.2.3. 성대진동
3.2.4. 기식 및 긴장도
3.3 한국어와 타 언어의 자음체계 비교
3.3.1. 한국어와 영어의 자음체계 비교
3.3.2. 한국어와 일본어의 자음체계 비교
3.3.3. 한국어와 중국어의 자음체계 비교
3.4 한국어 자음의 교육 방안
3.4.1. 자음 교육 모형
3.4.2. 자음 교육 방안
04 한국어의 모음
4.1 단순모음과 이중모음
4.2 한국어의 단순모음
4.2.1. 한국어의 단순모음 수
4.2.2. 단순모음 분류 기준
4.2.3. 한국어 단순모음 체계
4.3 한국어의 이중모음
4.3.1. [w]-계 이중모음
4.3.2. [j]-계 이중모음
4.3.3 [ɰ]-계 이중모음
4.4 한국어와 타 언어의 모음체계 비교
4.4.1. 한국어와 영어의 모음체계 비교
4.4.2. 한국어와 일본어의 모음체계 비교
4.4.3. 한국어와 중국어의 모음체계 비교
4.5 한국어 모음의 교육 방안
4.5.1. 모음 교육 모형
4.5.2. 모음 교육 방안
05 강세와 억양
5.1 강세(stress)
5.1.1. 언어의 운율 유형에 따른 분류
5.1.2. 표준 한국어의 강세
5.2 억양
5.2.1. 말토막, 말마디, 문장
5.2.2. 말마디 억양과 핵억양
5.2.3. 핵억양의 종류
5.3 한국어 강세와 억양의 교육 방안
5.3.1. 강세와 억양 교육 모형
5.3.2. 강세와 억양 교육 방안
06 음절구조 및 제약
6.1 음절의 정의
6.2 한국어에서의 음절
6.2.1. 한국어의 음절구조
6.2.2. 한국어의 음절화
6.2.3. 음절구조제약
6.3 제약
6.3.1. 음소구조제약
6.3.2. 단어구조제약
6.3.3. 음소배열제약
6.3.4. 음절배열제약
6.3.5. 단어배열제약
6.4 한국어와 타 언어의 음절구조 비교
6.4.1. 한국어와 영어의 음절구조 비교
6.4.2. 한국어와 일본어의 음절구조 비교
6.4.3.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구조 비교
6.5 한국어의 음절구조 교육 방안
6.5.1. 음절구조 교육 모형
6.5.2. 음절구조 교육 방안
07 음운현상
7.1 음운현상의 정의
7.2 음운현상의 유형
7.3 음운현상의 실제 예
7.3.1. 대치
7.3.2. 탈락
7.3.3. 첨가
7.3.4. 축약
08 자음의 음운현상
8.1 대치
8.1.1. 음절말 평폐쇄음화
8.1.2. 비음동화(비음화)
8.1.3. /ㄹ/의 비음화
8.1.4. 순행적 유음화
8.1.5. 역행적 유음화
8.1.6. 조음위치동화
8.1.7. 구개음화
8.1.8. (대치로서의) 경음화
8.2 탈락
8.2.1. /ㅎ/-탈락
8.2.2. /ㄹ/-탈락
8.2.3. /ㄷ/-탈락
8.2.4. 자음군 단순화
8.3 첨가
8.3.1. /ㄴ/-첨가
8.4 축약
8.4.1. 유기음화
8.4.2. (축약으로서의)경음화
8.5 한국어 자음의 음운현상 교육 방안
8.5.1. 자음의 음운현상 교육 모형
8.5.2. 자음의 음운현상 교육 방안
09 모음의 음운현상
9.1 대치
9.1.1. 반모음화
9.1.2. 모음의 완전순행동화
9.1.3 /ㅣ/-모음 역행동화(움라우트)
9.1.4. 원순모음화
9.1.5. 비원순모음화
9.1.6. 전설모음화
9.1.7. 모음조화
9.1.8. 단모음화(短母音化)
9.2 탈락
9.2.1. /ㅡ/-탈락
9.2.2. /ㅏ, ㅓ/-탈락(동일모음 탈락)
9.2.3. /ㅣ/-탈락([j]-탈락)
9.2.4. /ㅗ, ㅜ/-탈락([w]-탈락)
9.3 첨가
9.3.1. 반모음 첨가([j,w]-첨가)
9.4 축약
9.4.1. 단수모음 축약
9.4.2. 이중모음 축약
9.5 한국어 모음의 음운현상 교육 방안
9.5.1. 모음의 음운현상 교육 모형
9.5.2. 모음의 음운현상 교육 방안
부록 1 한글 맞춤법
부록 2 표준어 규정
부록 3 외래어 표기법
부록 4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찾아보기
참고 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