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 한국어의 말소리
  • 대출인기

    한국어의 말소리

    발행연도 - 2011 / 신지영 저 / 지식과 교양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66794
    • ISBN 9788994955377
    • 형태 346 p. 25 cm
    • 한국십진분류 언어 > 한국어 > 음운, 음성, 문자
    • 카테고리분류 인문 > 기호/논리/언어학 > 국어학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한국어의 소리체계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전공서. ‘말소리란 무엇인가’라는 기본적인 질문에서 시작하여 혀, 후두, 성대, 입천장 등 우리 몸의 소리기관들을 살펴보고, 음운체계와 음운현상을 자세하게 살펴본다. 더불어 음운빈도나 한국어의 운율 등 소리에 관계된 모든 분야를 이 한권에 아울러 담았다. 내용 중간중간 삽입된 ‘잠깐’은 잘못된 소리 상식이나 새로운 정보 등 재미있는 내용들로 꾸려 읽기에 지루함을 덜어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머리말

제1장 말소리란 무엇인가?
1.1 말소리 ‘귀’로 듣기
1.2 말소리, 음성, 음운(음소)
1.3 이 책의 구성

제2장 말소리의 생성
2.1 말소리의 생성에 사용되는 기관: 발음 기관
2.1.1 개관
2.1.2 후두
2.1.3 혀
2.1.4 입천장
2.2 말소리 생성에 사용되는 공간
2.3 말소리 생성의 과정
2.3.1 발동
2.3.2 발성
2.3.3 조음
2.4 분류
2.4.1 공명음 대 장애음
2.4.2 자음
2.4.2.1 조음 위치
2.4.2.2 조음 방법
2.4.2.3 발성 유형
2.4.3 모음
2.4.3.1 혀의 높이
2.4.3.2 전후설
2.4.3.3 원순성

제3장 말소리를 적는 기호
3.1 말소리 듣고 적기
3.2 국제 음성 기호
3.3 장애 음성을 위한 추가 IPA 기호

제4장 음운론의 기초 개념
4.1 음운(음소)과 변이음
4.2 음운 설정의 기준
4.2.1 최소대립쌍
4.2.2 상보분포, 음성적 유사성, 자유변이
4.3 말소리의 음절 내 위치와 단어 내 위치
4.3.1 음절 내 위치: 초성, 중성, 종성
4.3.2 단어 내 위치: 어두, 어중, 어말
4.4 기저형, 표면형, 음운 규칙
4.5 음운 자질
4.5.1 음운 자질의 필요성
4.5.2 주요 부류 자질

제5장 자음
5.1 자음 목록
5.2 장애음
5.2.1 폐쇄음
5.2.1.1 어두 폐쇄음
5.2.1.2 어중 폐쇄음
5.2.1.3 어말 폐쇄음
5.2.1.4 평 폐쇄음의 변이음과 음운론적 정체성
5.2.1.5 폐쇄음의 주요 변이음
5.2.2 마찰음
5.2.2.1 어두 마찰음
5.2.2.2 어중 마찰음
5.2.2.3 평 마찰음의 변이음과 음운론적 정체성
5.2.2.4 마찰음의 주요 변이음
5.2.3 파찰음
5.2.3.1 어두 파찰음
5.2.3.2 어중 파찰음
5.2.3.3 파찰음의 주요 변이음
5.3 공명음
5.3.1 비음
5.3.1.1 어두 비음
5.3.1.2 어중 비음
5.3.1.3 어말 비음
5.3.1.4 비음의 주요 변이음
5.3.2 유음
5.3.2.1 유음의 음성적 실현
5.3.2.2 유음의 변이음과 음운론적 정체성
5.4 자음을 위한 자질
5.4.1 조음 방법과 관련된 자질
5.4.2 조음 위치와 관련된 자질
5.4.3 발성 유형과 관련된 자질

제6장 모음
6.1 모음의 음운론적 분석
6.1.1 단모음과 이중모음
6.1.2 활음의 음운론적 지위: 자음인가 모음인가?
6.2 단모음
6.2.1 표준 발음법에 규정된 단모음 체계
6.2.1.1 원순 전설 모음의 비현실성
6.2.1.2 /e/와 /æ/의 대립은 존재하는가?
6.2.2 표준어의 단모음 체계
6.2.3 단모음의 음성적 실현
6.3 이중모음
6.3.1 이중모음 /ㅢ/
6.3.1.1 하향인가, 상향인가?
6.3.1.2 /ㅢ/의 음성적 실현
6.3.2 표준어의 이중모음 체계
6.4 모음을 위한 자질

제7장 한국어의 말소리 빈도
7.1 자료
7.1.1 사전
7.1.2 자유 발화
7.2. 음운 빈도
7.2.1 전체 빈도
7.2.2 자음 빈도
7.2.2.1 자음 전체 빈도
7.2.2.2 초성 빈도
7.2.2.3 종성 빈도
7.2.3 모음 빈도
7.3 음절 빈도
7.3.1 고빈도 음절
7.3.2 음절 유형 빈도
7.4 영어 음운 빈도와의 비교
7.4.1 영어의 자음 빈도
7.4.2 영어의 모음 빈도
7.4.3 한국어와 영어의 음운 빈도 비교

제8장 한국어의 운율
8.1 운율의 언어학적 기능
8.2 한국어의 운율 구조
8.3 음절 231
8.3.1 음절 구조
8.3.2 음절 유형
8.3.3 음절 만들기
8.3.4 음절과 음운 현상
8.4 음운단어
8.5 음운구
8.6 억양구

제9장 음운 현상(I)
9.1 음절 구조 제약에 의한 음운 현상
9.1.1 평 폐쇄음화: 종성에는 불파음만
9.1.2 자음군 단순화: 종성에는 한 개의 자음만
9.2 말소리 연쇄 제약에 의한 음운 현상
9.2.1 장애음 뒤 경음화: 장애음과 평장애음의 연쇄 제약
9.2.2 장애음의 비음화: 장애음과 공명음의 연쇄 제약
9.2.3 유음화(I): /ㄹ/와 /ㄴ/의 연쇄 제약
9.2.4 격음화: ‘장애음과 /ㅎ/’, ‘/ㅎ/와 평장애음’의 연쇄 제약
9.2.5 /j/ 탈락: /ㅈ, ㅉ, ㅊ/와 /j/의 연쇄 제약
9.2.6 동일 조음 위치 장애음 탈락: 동일 조음 위치 장애음의 연쇄 제약
9.2.7 유음의 비음화(I): 비치경 자음과 유음의 연쇄 제약
9.3 수의적인 음운 현상
9.3.1 조음 위치 동화: 비설정음화와 연구개음화
9.3.2 공명음 사이 /ㅎ/ 탈락

제10장 음운 현상(II)
10.1 한자어 단어의 시작에서
10.1.1 한자어 어두 유음의 비음화
10.1.2 한자어 어두 /ㄴ/ 탈락
10.2 어휘 형태소와 어휘 형태소 사이에서
10.2.1 유음화(II)와 유음의 비음화(II): /ㄴ/와 /ㄹ/가 이어질 때
10.2.2 한자어의 경음화
10.2.2.1 한자어 /ㄹ/ 뒤 경음화
10.2.2.2 한자어의 단어 개별적인 경음화
10.2.3 /ㄷ/ 첨가
10.2.4 /ㄴ/ 첨가
10.3 어휘 형태소와 문법 형태소 사이에서
10.3.1 구개음화
10.3.2 비음 종결 어간 뒤 경음화
10.3.3 관형형 어미 {-을} 뒤 경음화

참고문헌
찾아보기
한영 용어 대조표
영한 용어 대조표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국어음운론 개설 국어음운론 개설 1997 / 배주채 저 / 신구문화사
한국어 역사음운론 한국어 역사음운론 2002 / 백응진 저 / 박이정
우리말의 고저장단 : 고저는 살아 있다 우리말의 고저장단 : 고저는 살아 있다 1999 / 손종섭 지음 / 정신세계사
(언어괴물 신견식의)콩글리시 찬가 (언어괴물 신견식의)콩글리시 찬가 2016 / 지음: 신견식 / 뿌리와이파리
(언어괴물 신견식의)콩글리시 찬가 (언어괴물 신견식의)콩글리시 찬가 2016 / 지음: 신견식 / 뿌리와이파리
말소리의 이해 말소리의 이해 2000 / 신지영 지음 / 한국문화사
우리말 소리의 체계 우리말 소리의 체계 2003 / 신지영 ; 차재은 공저 / 한국문화사
한국어의 말소리 한국어의 말소리 2011 / 신지영 저 / 지식과 교양
말소리 말소리 2009 / 양순임 지음 / 박이정
표준어의 음운현상에 대한 연구 표준어의 음운현상에 대한 연구 2013 / 저자: 엄태수 / 박문사
우리말 음운 연구의 실제 우리말 음운 연구의 실제 2006 / 최윤현 외저 / 경진문화사
평양지역어의 음운론 평양지역어의 음운론 2007 / 이금화 / 역락
(국어 음운 현상의)공시성과 통시성 (국어 음운 현상의)공시성과 통시성 2006 / 이동석 지음 / 한국문화사
(국어 교육을 위한)현대 국어 음운론 (국어 교육을 위한)현대 국어 음운론 2004 / 이문규 지음 / 한국문화사
(국어 교육을 위한) 현대 국어 음운론 (국어 교육을 위한) 현대 국어 음운론 2016 / 지음: 이문규 / 한국문화사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Isadora Moon goes camping Isadora Moon goes camping 2019 / by: Harriet Muncaster / Oxford University Press
한국어 음성 음운 교육론 한국어 음성 음운 교육론 2013 / 박시균 지음 / 한국문화사
한국어의 표기와 발음 한국어의 표기와 발음 2012 / 박창원 저 / 지식과교양
국어음운론의 해석 국어음운론의 해석 2009 / 박종덕 지음 / 경진문화
언어재활사는 이렇게 일한다 언어재활사는 이렇게 일한다 2022 / 지음: 우정수 / 청년의사
우리말 소리의 체계 우리말 소리의 체계 2003 / 신지영 ; 차재은 공저 / 한국문화사
(외국어로서의)한국어 발음 교육론 (외국어로서의)한국어 발음 교육론 2006 / 허용 ; 김선정 [공]지음 / 박이정
문화기호학 문화기호학 2000 / 송효섭 지음 / 아르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47. 2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47. 2 2010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저 / 랭기지플러스
(Dr. Manning의)유창성 장애 (Dr. Manning의)유창성 장애 2013 / Walter H. Manning 지음 ; 심현섭 ; 신문자 ; 이은주 ; 이경제 [공]옮김 / 시그마프레스
(의사소통장애) 임상관찰 (의사소통장애) 임상관찰 2014 / Georgia Hambrecht, Tracie Rice 지음 ; 한진순 옮김 / 시그마프레스
임상중심 말소리장애  = Speech sound disorders : a clinical approach  임상중심 말소리장애 = Speech sound disorders : a clinical approach 2021 / 지음: 김민정 / 학지사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어이없이 틀리는) 우리말 맞춤법 500 (어이없이 틀리는) 우리말 맞춤법 500 2013 / 여문주 지음 ; 김조운 그림 / 인이레
한글의 발명 : 한글 연구의 차원을 바꾼 심도 깊은 역작 한글의 발명 : 한글 연구의 차원을 바꾼 심도 깊은 역작 2015 / 지음: 정광 / 김영사
(달인의) 띄어쓰기·맞춤법 : 한국인이 가장 잘 틀리는 우리말 5500제 (달인의) 띄어쓰기·맞춤법 : 한국인이 가장 잘 틀리는 우리말 5500제 2021 / 편저자: 최종희 / 국민출판
맞춤법을 알고 나니 사회생활이 술술 풀렸습니다 맞춤법을 알고 나니 사회생활이 술술 풀렸습니다 2019 / 지음: 함정선 / 메이트북스
우리 글 바로 쓰기. 5 우리 글 바로 쓰기. 5 2009 / 이오덕 지음 / 한길사
한글 이야기. 1 - 2 한글 이야기. 1 - 2 2013 / 홍윤표 / 태학사
한글 이야기. 1 - 2 한글 이야기. 1 - 2 2013 / 홍윤표 / 태학사
(차곡차곡 익히는)우리말 우리글. 1: 단계별 어문 규범 길라잡이 (차곡차곡 익히는)우리말 우리글. 1: 단계별 어문 규범 길라잡이 2012 / 이관규 외 지음 / 박이정
한판 붙자, 맞춤법! 한판 붙자, 맞춤법! 2020 / 지음: 변정수 / 뿌리와이파리
안녕? 나의 한글 맞춤법 안녕? 나의 한글 맞춤법 2017 / 지음: 엄지인 ; 일러스트: 곽수진 / 다락원
한글전쟁 : 우리말, 우리글, 5천년 쟁투사 한글전쟁 : 우리말, 우리글, 5천년 쟁투사 2014 / 김흥식 지음 / 서해문집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 한국어 사용자의 필독서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 한국어 사용자의 필독서 2013 / 김남미 지음 / 나무의철학
한국어의 표기와 발음 한국어의 표기와 발음 2012 / 박창원 저 / 지식과교양
(틀리기 쉬운)우리말 바로 쓰기 (틀리기 쉬운)우리말 바로 쓰기 2015 / 지음: 정재윤 / 현북스
(유광종의 지하철)한자 여행 : 역명에 담긴 한자, 그 스토리와 문화를 읽다. 2 (유광종의 지하철)한자 여행 : 역명에 담긴 한자, 그 스토리와 문화를 읽다. 2 2016 / 유광종 글 / 책밭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1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1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