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어의 소리체계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전공서. ‘말소리란 무엇인가’라는 기본적인 질문에서 시작하여 혀, 후두, 성대, 입천장 등 우리 몸의 소리기관들을 살펴보고, 음운체계와 음운현상을 자세하게 살펴본다. 더불어 음운빈도나 한국어의 운율 등 소리에 관계된 모든 분야를 이 한권에 아울러 담았다. 내용 중간중간 삽입된 ‘잠깐’은 잘못된 소리 상식이나 새로운 정보 등 재미있는 내용들로 꾸려 읽기에 지루함을 덜어준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말소리란 무엇인가?
1.1 말소리 ‘귀’로 듣기
1.2 말소리, 음성, 음운(음소)
1.3 이 책의 구성
제2장 말소리의 생성
2.1 말소리의 생성에 사용되는 기관: 발음 기관
2.1.1 개관
2.1.2 후두
2.1.3 혀
2.1.4 입천장
2.2 말소리 생성에 사용되는 공간
2.3 말소리 생성의 과정
2.3.1 발동
2.3.2 발성
2.3.3 조음
2.4 분류
2.4.1 공명음 대 장애음
2.4.2 자음
2.4.2.1 조음 위치
2.4.2.2 조음 방법
2.4.2.3 발성 유형
2.4.3 모음
2.4.3.1 혀의 높이
2.4.3.2 전후설
2.4.3.3 원순성
제3장 말소리를 적는 기호
3.1 말소리 듣고 적기
3.2 국제 음성 기호
3.3 장애 음성을 위한 추가 IPA 기호
제4장 음운론의 기초 개념
4.1 음운(음소)과 변이음
4.2 음운 설정의 기준
4.2.1 최소대립쌍
4.2.2 상보분포, 음성적 유사성, 자유변이
4.3 말소리의 음절 내 위치와 단어 내 위치
4.3.1 음절 내 위치: 초성, 중성, 종성
4.3.2 단어 내 위치: 어두, 어중, 어말
4.4 기저형, 표면형, 음운 규칙
4.5 음운 자질
4.5.1 음운 자질의 필요성
4.5.2 주요 부류 자질
제5장 자음
5.1 자음 목록
5.2 장애음
5.2.1 폐쇄음
5.2.1.1 어두 폐쇄음
5.2.1.2 어중 폐쇄음
5.2.1.3 어말 폐쇄음
5.2.1.4 평 폐쇄음의 변이음과 음운론적 정체성
5.2.1.5 폐쇄음의 주요 변이음
5.2.2 마찰음
5.2.2.1 어두 마찰음
5.2.2.2 어중 마찰음
5.2.2.3 평 마찰음의 변이음과 음운론적 정체성
5.2.2.4 마찰음의 주요 변이음
5.2.3 파찰음
5.2.3.1 어두 파찰음
5.2.3.2 어중 파찰음
5.2.3.3 파찰음의 주요 변이음
5.3 공명음
5.3.1 비음
5.3.1.1 어두 비음
5.3.1.2 어중 비음
5.3.1.3 어말 비음
5.3.1.4 비음의 주요 변이음
5.3.2 유음
5.3.2.1 유음의 음성적 실현
5.3.2.2 유음의 변이음과 음운론적 정체성
5.4 자음을 위한 자질
5.4.1 조음 방법과 관련된 자질
5.4.2 조음 위치와 관련된 자질
5.4.3 발성 유형과 관련된 자질
제6장 모음
6.1 모음의 음운론적 분석
6.1.1 단모음과 이중모음
6.1.2 활음의 음운론적 지위: 자음인가 모음인가?
6.2 단모음
6.2.1 표준 발음법에 규정된 단모음 체계
6.2.1.1 원순 전설 모음의 비현실성
6.2.1.2 /e/와 /æ/의 대립은 존재하는가?
6.2.2 표준어의 단모음 체계
6.2.3 단모음의 음성적 실현
6.3 이중모음
6.3.1 이중모음 /ㅢ/
6.3.1.1 하향인가, 상향인가?
6.3.1.2 /ㅢ/의 음성적 실현
6.3.2 표준어의 이중모음 체계
6.4 모음을 위한 자질
제7장 한국어의 말소리 빈도
7.1 자료
7.1.1 사전
7.1.2 자유 발화
7.2. 음운 빈도
7.2.1 전체 빈도
7.2.2 자음 빈도
7.2.2.1 자음 전체 빈도
7.2.2.2 초성 빈도
7.2.2.3 종성 빈도
7.2.3 모음 빈도
7.3 음절 빈도
7.3.1 고빈도 음절
7.3.2 음절 유형 빈도
7.4 영어 음운 빈도와의 비교
7.4.1 영어의 자음 빈도
7.4.2 영어의 모음 빈도
7.4.3 한국어와 영어의 음운 빈도 비교
제8장 한국어의 운율
8.1 운율의 언어학적 기능
8.2 한국어의 운율 구조
8.3 음절 231
8.3.1 음절 구조
8.3.2 음절 유형
8.3.3 음절 만들기
8.3.4 음절과 음운 현상
8.4 음운단어
8.5 음운구
8.6 억양구
제9장 음운 현상(I)
9.1 음절 구조 제약에 의한 음운 현상
9.1.1 평 폐쇄음화: 종성에는 불파음만
9.1.2 자음군 단순화: 종성에는 한 개의 자음만
9.2 말소리 연쇄 제약에 의한 음운 현상
9.2.1 장애음 뒤 경음화: 장애음과 평장애음의 연쇄 제약
9.2.2 장애음의 비음화: 장애음과 공명음의 연쇄 제약
9.2.3 유음화(I): /ㄹ/와 /ㄴ/의 연쇄 제약
9.2.4 격음화: ‘장애음과 /ㅎ/’, ‘/ㅎ/와 평장애음’의 연쇄 제약
9.2.5 /j/ 탈락: /ㅈ, ㅉ, ㅊ/와 /j/의 연쇄 제약
9.2.6 동일 조음 위치 장애음 탈락: 동일 조음 위치 장애음의 연쇄 제약
9.2.7 유음의 비음화(I): 비치경 자음과 유음의 연쇄 제약
9.3 수의적인 음운 현상
9.3.1 조음 위치 동화: 비설정음화와 연구개음화
9.3.2 공명음 사이 /ㅎ/ 탈락
제10장 음운 현상(II)
10.1 한자어 단어의 시작에서
10.1.1 한자어 어두 유음의 비음화
10.1.2 한자어 어두 /ㄴ/ 탈락
10.2 어휘 형태소와 어휘 형태소 사이에서
10.2.1 유음화(II)와 유음의 비음화(II): /ㄴ/와 /ㄹ/가 이어질 때
10.2.2 한자어의 경음화
10.2.2.1 한자어 /ㄹ/ 뒤 경음화
10.2.2.2 한자어의 단어 개별적인 경음화
10.2.3 /ㄷ/ 첨가
10.2.4 /ㄴ/ 첨가
10.3 어휘 형태소와 문법 형태소 사이에서
10.3.1 구개음화
10.3.2 비음 종결 어간 뒤 경음화
10.3.3 관형형 어미 {-을} 뒤 경음화
참고문헌
찾아보기
한영 용어 대조표
영한 용어 대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