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새로 쓰는 북아메리카 인디언의 역사 시리즈 1권. 북아메리카 인디언이 이론상 연방 주권과 대등한 영향력을 지닌 부족 주권을 얻기까지의 역사, 곧 유럽 이주민과 만난 이후부터 19세기 말까지 이어지는 북아메리카 인디언의 역사를 들려준다. 대부분의 역사책이 북아메리카 인디언이 미합중국의 탄압으로 인해 절멸했거나 멸망했다고 서술하는 것과 달리, 이 책은 인디언이 멸망하지 않았다는 시선을 담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1장 최초의 아메리칸은 누구인가
유럽 이주민에서 영국계 ‘아메리칸’으로
‘영국계 아메리칸’에서 미국인으로
경제적 욕망, ‘주식회사 미국’의 기원
왜 인디언으로 위장했을까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
콜럼버스 이전 시기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선주민
인디언은 최초의 아메리칸일까
국가보다 오래된 사회
2장 국가를 거부한 인디언
정복자의 논리, 발견의 원칙
발견의 원칙에서 명백한 운명으로
미국의 영토 획득 과정
미국의 원죄, 프런티어
인디언 문명화에 앞장선 제퍼슨의 속내
테쿰세가 이끈 북부 지역 인디언 부족연합
크리크족 중심의 남부 지역 인디언 부족연합
‘1812년 전쟁’의 종결과 와해된 부족연합
국가를 만든 유럽 이주민
토지 세탁에 미합중국이 직접 나선 까닭
국가를 만들지 않은 인디언
국가에 대항하는 사회
3장 정복자의 언어, 강제 이주와 보호구역
문명화된 체로키 부족
체로키 부족과 조지아 주의 충돌
미국 헌법이 보장한 인디언 부족의 지위
체로키족의 강제 이주, 눈물의 행로
인디언 보호구역이란 무엇인가
급조된 부족 거주지, 인디언 준주
인디언 준주마저 강탈해간 미합중국
남북전쟁 이후의 강제 이주
땅을 향한 백인의 욕망, 토지 선점 경주
인디언 준주를 삼킨 오클라호마 준주
4장 학교교육을 통한 미국화
미국 정부가 설립한 인디언 학교
칼라일 학교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백인 방식으로 이름 고치기
인디언 기숙학교를 설립한 미국 정부의 의도
강요된 영어 사용
직업교육과 외부 실습 프로그램의 실체
백인 방식의 시간과 공간
인공의 경쟁 시스템, 시험과 운동 경기
백인 개혁가의 숨은 의도
통제교육에 저항하는 인디언 학생
줄어드는 인디언 기숙학교
기숙학교의 영향, 범인디언주의
5장 인디언에게 종교란 무엇인가
정령의 계시를 찾는 비전 탐구와 땀 움막
성스러운 사람의 의식, 유위피
치료와 사냥에 깃든 일상의 종교의식
재생의 의미를 지닌 태양춤
미국화를 위한 종교 탄압
원주민 부흥운동과 결합한 페요테 의식
혁명의 춤으로 오인받은 신령춤
정체성을 상실한 장소의 공간화
땅의 신앙을 몰아낸 물신
6장 토지의 사유화가 빚은 비극
개인과 개인주의
소유적 개인주의란 무엇인가
보호구역 토지의 사유지화
자영농 육성이라는 선전 구호의 실체
토지 약탈의 편법, 임대와 잔여지 매수
인디언, 도즈법에 저항하다
도즈법이 시행된 후 어떻게 되었을까
개인주의로 위장한 물신
국가 속의 개인, 사회적 관계 속의 개인
7장 미국화에 맞서는 부족 주권
500개의 인디언 네이션
부족과 미국이 체결한 조약과 협정
미합중국 출범에 걸림돌이 된 민주주의
민주주의, 공화주의와 결합하다
연방정부와 주 정부의 관계
인디언 부족과 연방정부의 관계
조약에서 찾은 인디언 판 수정 제10조
연방의회가 지닌 전권과 인디언의 부족 주권
인디언에게 부여된 미국 시민권
누구와 관계를 맺을 것인가
글을 마치며
본문의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