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에 대해 기독교는 어떠한 생각들과 입장을 가지고 있는지를 서술한 책. 기독교적 정의는 ‘본질상’ 회복적 정의에 있다. 성경은 법을 통한 처벌, 공평한 분배를 정의의 중요한 표지로 간주한다. 그러나 본질은 화해, 곧 회복에 있다.
목차
머리말 추천사 추천사 추천사
일러두기 약어표
제1장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복수와 정의 1.1 받은 대로 돌려주라 1.2 탈리오의 법(lex talionis)
제2장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 - 정의의 기초로서 도덕관념 2.1 그리스도인과 갈등상황 2.2 선과 악
제3장 나는 악인을 의롭다 하지 아니하겠노라 - 율법과 응보적 정의 3.1 사형 제도와 응보적 정의 - 사형은 기독교적인가, 반(反)기독교적인가? 3.2 신의 정의와 인간의 정의 - 궁극적 재판관으로서 하나님 3.3 감시와 처벌 - 응보적 정의와 처벌
제4장 온 율법과 선지자의 강령 - 기독교윤리와 규범 4.1 십계명: ‘율법’인가, ‘복음’인가? 4.2 산상수훈: 도덕적 ‘이상’인가, 무조건적 ‘규범’인가?
제5장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정의를 행하시며 - 사랑의 계명과 분배적 정의 5.1 무상급식, 망국적 포퓰리즘인가, 복지사회의 시작인가? - 무상급식 논쟁을 통해 본 분배적 정의의 문제 5.2 나눔과 정의 - 기독교적 분배정의의 원리 5.3 사회와 교회의 양극화 문제 해소를 위한 제언 5.3.1 사회의 양극화: 공동체성과 연대성으로 해결하자 5.3.2 교회의 양극화: 교회는 사회의 거울이다
제6장 우리에게 화목하게 하는 직분을 주셨으니 - 기독교와 회복적 정의 6.1 응보와 회복 6.2 화해의 신학 - 화해론에 대한 역사 신학적 조명 6.3 회복적 정의의 기독교적 기초
제7장 하나님의 나라와 정의 - 기독교적 정의론의 결론과 전망
에필로그 참고문헌 성구색인 인명색인 개념색인
서가브라우징
두 글자로 신학하기 : 지성과 영성이 공명하는 일상의 신학 놀이2013 / 구미정 지음 / 포이에마
이해를 추구하는 믿음 : 안셀무스의 신학적 체계와 연관한 신 존재 증명2013 / 카를 바르트 지음 ; 김장생 옮김 / 한국문화사
기대합니다 성령님 = We expect you holyspirit2013 / 손기철 지음 / 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