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오랫동안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연구해온 저자 한시준의 연구성과를 묶은 책이다. 저자는 이명박 정부 이래 제기되고 있는 '건국'과 '건국절' 문제에 대해 역사적 근거와 논리도 없다는 점, 그리고 법률적.상식적으로도 맞지 않은 주장이라며, 이에 대해 강력히 비판해 왔다.
목차
책머리에
1부 임시정부 기반을 마련한 지도자
한성정부를 수립한 홍진
3·1 독립선언과 임시정부 수립 움직임
임시정부 수립 추진
한성정부 조직
13도대표자대회
임시정부 수립을 둘러싼 갈등과 혼선
한성정부를 품에 안고 상해로
한성정부의 선포
국민을 기반으로 한성정부 수립
임시정부의 기반을 마련한 안창호
내무총장 취임과 임시정부 출범
한성정부를 중심으로 임시정부 통합
사퇴와 임시정부의 파국
임시정부의 활동기반 마련
2부 임시정부의 행정수반을 지낸 지도자
초대 대통령 이승만
임시정부 수립과 이승만
임시정부의 대통령직 수행
임시정부 대통령직 탄핵
탄핵당한 대통령
제2대 대통령 박은식
임시정부 참여
임시정부의 혼란과 수습 노력
임시정부의 대통령
혼란을 수습한 대통령
국무령 홍진
임시정부 활성화 방안 구상
국무령에 선출
국무령 취임
민족의 대결합 강조
주석 김구
임시정부 체제 정비와 주석
좌우연합정부 구성과 통일운동
국내진입작전 추진
주석으로서의 활동
3부 임시정부의 이론가
삼균주의를 창안한 조소앙
근대 지식인으로 성장
삼균주의의 형성과정
삼균주의의 이론체계
삼균주의와 민족국가건설론
삼균주의의 역사적 의의
헌법을 기초한 신익희
임시정부의 수립과 헌법 기초
임시정부의 내무부장
환국 후 임시정부와 결별
임시정부의 이론적 실무자
4부 한국광복군의 지휘관
총사령관 이청천
광복군 창설과 총사령관
총사령으로 활동
확군 활동과 광복군 복원
항일무장투쟁의 선봉장
서안총사령부 총사령 황학수
대한제국 군인
상해로의 망명과 임시정부 참여
만주에서의 독립군 활동
한국광복군 총사령 대리와 임시정부에서의 활동
대한제국 군인, 독립군, 광복군으로 활동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