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정판을 내면서
머리말
서장 : 이황의 생애와 인간
1. 생애
2. 인간상
제1장 진리관
1. 서언
2. 지행설
3. 격물설
1) 심의 기능
2) 격물 주해
3) 리발현설
4. 방법론
1) 거경함양
2) 궁리의 방법
5. 결어
제2장 우주발생관
1. 문제의 제기 : 리기론과의 관련
2. 이황의 독자적 이해
1) 리와 기의 의미
(1) 리의 의미
(2) 기의 의미
2) 리와 기의 특성 및 상호관계
(1) 리의 특성
(2) 기의 특성
(3) 리기의 상호관계
3) 이황 이론의 형식
3. 모순점과 이황의 합리화
1) 리의 동의 문제
2) 리의 체용
3) 체용일원
4) 체용론과 무극·태극
5) 기의 생의 문제
6) 문제 내의 본원적 모순점
7) 리의 용과 기의 생
8) 리기 개념의 혼란
4. 모순점의 소재
1) 상정된 전제들
2) 리 개념의 두 가지 특성
3) 전제 속의 모순
5. 결어
제3장 심성관
1. 서언
2. 기본 심성관
1) 심에 대한 한 정의
2) 리기와의 관련
3) 심의 리기적 특성
(1) 리기적 측면
(2) 감성적 측면
(3) 허령불매(인식)의 특성
4) 심의 체용 : 심·성·정의 관계
3. 사단칠정에 대한 해석과 논변
1) 사단과 칠정
2) 해석과 논변의 야기
3) 논변 제1서
4) 제1서에 대한 반론
5) 논변 제2서
6) 제2서에 대한 반론
7) 논변 제3서 및 기타
4. 해석의 입장과 그 의의
1) 개정해석형식과 그 미결문제
2) 소지의 입장과 해석의 타당성
3) 소종래의 입장과 해석의 타당성
4) 해석에 대한 재해석
5) 해석상의 전제
6) 해석의 의의
5. 인심·도심론에 나타난 심성론
1) 사단·철정과 인심·도심
2) 인욕과 천리
3) 중과 예와 천인합일
제4장 가치관
1. 서언
2. 가치론의 발달
1) 윤리행위에 관한 관심
2) 의리 추구와 진퇴 문제
3) 윤리체계
4) 의리의 행과 덕성
3. 리기론적 입장
1) 리기의 개념
(1) 리의 의미와 특성
(2) 기의 의미와 특성
(3) 리기의 관계
4. 사실론적 기초
1) 인간의 존재
(1) 기의 산멸과 인간의 유한성
(2) 죽음과 현상적 무화
2) 우주의 생성
(1) 리의 동과 기의 생성
(2) 리의 체용
(3) 우주의 존재
3) 리에의 인식
(1) 격물설
(2) 심의 기능적 특성
(3) 격물 주해
(4) 리발현설
5. 우주론적 구조
1) 사물 일반에서의 리일치론
2) 두 종류의 성과 리
3) 선악과 세의 문제
4) 자기원인으로서의 조화현상
5) 리일치론의 조건과 기의 생성
6. 심성론적 전개
1) 가설적 설명
2) 실제적 설명
3) 본서의 자발적 발현
4) 기질지성의 극복
5) 예와 천인합일
7. 결론
제5장 이황 철학의 성격
1. 서언
2. 이황 철학의 주리적 특징
3. 리기 개념상의 주리의 기반
1) 개념과 주리 사고의 원형
2) 리의 우월성
3) 리의 근원성
4) 주리적 리기이원관
4. 주리적 리기설의 내용
1) 대표적인 주리설
2) 태극설의 경우
(1) 문제의 제기
(2) 그의 태극설의 원형
(3) 난관과 그 극복
3) 사칠론의 경우
(1) 문제의 제기
(2) 그의 사칠설의 요지
(3) 난관과 그 극복
4) 격물설의 경우
(1) 문제의 제기
(2) 그의 격물설의 핵심
(3) 주리적 합리화
5. 주리설의 문제의식
1) 격물설의 경우
(1) 진리탐구열
(2) 진리의 객관성
(3) 주체적 진리의 절대성
2) 태극설의 경우
(1) 인격신의 탈각
(2) 생명경외적 우주 의미의 탐구
(3) 자연조화
3) 사칠설의 경우
(1) 주체인의 인간상
(2) 사회질서의 확립
(3) 천인합일의 통로
6. 결론 : 이상주의적 성격과 현대적 의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