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 퇴계 이황의 철학
  • 퇴계 이황의 철학

    발행연도 - 2013 / 윤사순 지음 / 예문서원
    • 도서관 송도국제도서관
    • 자료실 송도국제기구도서관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SL0000000767
    • ISBN 9788976463043
    • 형태 314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동양철학, 사상 > 한국철학, 사상
    • 카테고리분류 인문 > 동양철학 > 한국철학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퇴계철학의 연구>의 전면개정판. 퇴계 이황의 생애와 학문 전반을 폭넓게 다루고 있는 이 책은 퇴계철학 연구를 선도하는 대표 저술의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개정판을 내면서
머리말

서장 : 이황의 생애와 인간
1. 생애
2. 인간상

제1장 진리관
1. 서언
2. 지행설
3. 격물설
1) 심의 기능
2) 격물 주해
3) 리발현설
4. 방법론
1) 거경함양
2) 궁리의 방법
5. 결어

제2장 우주발생관
1. 문제의 제기 : 리기론과의 관련
2. 이황의 독자적 이해
1) 리와 기의 의미
(1) 리의 의미
(2) 기의 의미
2) 리와 기의 특성 및 상호관계
(1) 리의 특성
(2) 기의 특성
(3) 리기의 상호관계
3) 이황 이론의 형식
3. 모순점과 이황의 합리화
1) 리의 동의 문제
2) 리의 체용
3) 체용일원
4) 체용론과 무극·태극
5) 기의 생의 문제
6) 문제 내의 본원적 모순점
7) 리의 용과 기의 생
8) 리기 개념의 혼란
4. 모순점의 소재
1) 상정된 전제들
2) 리 개념의 두 가지 특성
3) 전제 속의 모순
5. 결어

제3장 심성관
1. 서언
2. 기본 심성관
1) 심에 대한 한 정의
2) 리기와의 관련
3) 심의 리기적 특성
(1) 리기적 측면
(2) 감성적 측면
(3) 허령불매(인식)의 특성
4) 심의 체용 : 심·성·정의 관계
3. 사단칠정에 대한 해석과 논변
1) 사단과 칠정
2) 해석과 논변의 야기
3) 논변 제1서
4) 제1서에 대한 반론
5) 논변 제2서
6) 제2서에 대한 반론
7) 논변 제3서 및 기타
4. 해석의 입장과 그 의의
1) 개정해석형식과 그 미결문제
2) 소지의 입장과 해석의 타당성
3) 소종래의 입장과 해석의 타당성
4) 해석에 대한 재해석
5) 해석상의 전제
6) 해석의 의의
5. 인심·도심론에 나타난 심성론
1) 사단·철정과 인심·도심
2) 인욕과 천리
3) 중과 예와 천인합일

제4장 가치관
1. 서언
2. 가치론의 발달
1) 윤리행위에 관한 관심
2) 의리 추구와 진퇴 문제
3) 윤리체계
4) 의리의 행과 덕성
3. 리기론적 입장
1) 리기의 개념
(1) 리의 의미와 특성
(2) 기의 의미와 특성
(3) 리기의 관계
4. 사실론적 기초
1) 인간의 존재
(1) 기의 산멸과 인간의 유한성
(2) 죽음과 현상적 무화
2) 우주의 생성
(1) 리의 동과 기의 생성
(2) 리의 체용
(3) 우주의 존재
3) 리에의 인식
(1) 격물설
(2) 심의 기능적 특성
(3) 격물 주해
(4) 리발현설
5. 우주론적 구조
1) 사물 일반에서의 리일치론
2) 두 종류의 성과 리
3) 선악과 세의 문제
4) 자기원인으로서의 조화현상
5) 리일치론의 조건과 기의 생성
6. 심성론적 전개
1) 가설적 설명
2) 실제적 설명
3) 본서의 자발적 발현
4) 기질지성의 극복
5) 예와 천인합일
7. 결론

제5장 이황 철학의 성격
1. 서언
2. 이황 철학의 주리적 특징
3. 리기 개념상의 주리의 기반
1) 개념과 주리 사고의 원형
2) 리의 우월성
3) 리의 근원성
4) 주리적 리기이원관
4. 주리적 리기설의 내용
1) 대표적인 주리설
2) 태극설의 경우
(1) 문제의 제기
(2) 그의 태극설의 원형
(3) 난관과 그 극복
3) 사칠론의 경우
(1) 문제의 제기
(2) 그의 사칠설의 요지
(3) 난관과 그 극복
4) 격물설의 경우
(1) 문제의 제기
(2) 그의 격물설의 핵심
(3) 주리적 합리화
5. 주리설의 문제의식
1) 격물설의 경우
(1) 진리탐구열
(2) 진리의 객관성
(3) 주체적 진리의 절대성
2) 태극설의 경우
(1) 인격신의 탈각
(2) 생명경외적 우주 의미의 탐구
(3) 자연조화
3) 사칠설의 경우
(1) 주체인의 인간상
(2) 사회질서의 확립
(3) 천인합일의 통로
6. 결론 : 이상주의적 성격과 현대적 의의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동양 고전과 역사, 비판적 독법 동양 고전과 역사, 비판적 독법 2014 / 천쓰이 지음 ; 김동민 옮김 / 글항아리
선비가 사랑한 나무  : 인문학자 강판권의 나무와 성리학 이야기 선비가 사랑한 나무 : 인문학자 강판권의 나무와 성리학 이야기 2014 / 강판권 지음 / 한겨레출판
불혹과 유혹사이 : 마흔, 흔들려도 좋지 아니한가 불혹과 유혹사이 : 마흔, 흔들려도 좋지 아니한가 2014 / 신정근 지음 / 21세기 북스
한국근대사상사 탐구 한국근대사상사 탐구 2012 / 양은용 / 논형
대한민국철학사: 철학은 슬픔 속에서 생명을 가진다 대한민국철학사: 철학은 슬픔 속에서 생명을 가진다 2020 / 유대칠 지음 / 이상북스,
19세기 한 실학자의 발견 19세기 한 실학자의 발견 2016 / 진재교 ; 임형택 ; 김문용 ; 백민정 ; 장병한 ; 함영대 ; 송혁기 ; 손혜리 ; 김하라 지음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유학자의 동물원  : 조선 선비들의 동물 관찰기 그리고 인간의 마음 유학자의 동물원 : 조선 선비들의 동물 관찰기 그리고 인간의 마음 2015 / 최지원 지음 / 알렙
퇴계 이황의 철학 퇴계 이황의 철학 2013 / 윤사순 지음 / 예문서원
퇴계 선생이 엮은 옛사람들의 마음 닦기  퇴계 선생이 엮은 옛사람들의 마음 닦기 2019 / 지음: 이황 ; 옮김: 이광호 [외] / 학자원
이황 & 이이 조선의 정신을 세우다 이황 & 이이 조선의 정신을 세우다 2013 / 조남호 지음 / 김영사
퇴계의 길에서 길을 묻다 퇴계의 길에서 길을 묻다 2021 / 이광호 외 지음 / 푸른역사
두 개의 별 두 개의 지도 두 개의 별 두 개의 지도 2013 / 고미숙 지음 / 북드라망
성호선생언행록 성호선생언행록 2013 / 이삼환 / 단국대학교출판부
(순암 안정복의)일상과 이택재 장서 (순암 안정복의)일상과 이택재 장서 2013 / 김현영 ; 이혜은 ; 김효경 ; 안병걸 ; 전경목 ; 박한남 ; 김경숙 ; 안승준 ; 탁신희 지음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다산의 한평생 : 사암선생연보 다산의 한평생 : 사암선생연보 2014 / 정규영 지음 ; 송재소 역주 / 창비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숨결이 바람 될 때  : 서른여섯 젊은 의사의 마지막 순간 숨결이 바람 될 때 : 서른여섯 젊은 의사의 마지막 순간 2016 / 지음: 폴 칼라니티 ; 옮김: 이종인 / 흐름출판
세 갈래 길 : 래티샤 콜롱바니 장편소설 세 갈래 길 : 래티샤 콜롱바니 장편소설 2017 / 지음: 래티샤 콜롱바니 ; 옮김: 임미경 / 밝은세상
종소리 종소리 2012 /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대한민국철학사 대한민국철학사 2020 / 지음: 유대칠 / 이상북스
사랑하지 말자 사랑하지 말자 2013 / 김용옥 지음 / 통나무
조선의 정신을 세우다 : 이황 & 이이 조선의 정신을 세우다 : 이황 & 이이 2013 / 조남호 지음 / 김영사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과 정치 철학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과 정치 철학 2018 / 지음: 김형찬 / 바다
나를 찾고 너를 만나 : 유학자와 함께 일상에서 철학하기 나를 찾고 너를 만나 : 유학자와 함께 일상에서 철학하기 2015 / 금장태 지음 / 바오로딸
정약용 :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꾸다 정약용 :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꾸다 2012 / 함규진 지음 / 한길사
이 개만도 못한 버러지들아  : 다산 정약용, 조선을 고발하다 이 개만도 못한 버러지들아 : 다산 정약용, 조선을 고발하다 2013 / 정약용 지음 ; 노만수 엮어옮김 / 앨피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 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인간의 도리 2019 / 지음: 이황, 옮김: 이광호 / 홍익
윤리와 사회철학 : 다산기념 철학강좌 : 세계 석학들의 향연 윤리와 사회철학 : 다산기념 철학강좌 : 세계 석학들의 향연 2015 / 편: 한국철학회 / 철학과 현실사
(순암 안정복의)일상과 이택재 장서 (순암 안정복의)일상과 이택재 장서 2013 / 김현영 외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 리와 기로 해석한 한국 사회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 리와 기로 해석한 한국 사회 2017 / 지음: 오구라 기조 ; 옮김: 조성환 / 모시는사람들
우리것으로 철학하기 우리것으로 철학하기 2003 / 한상우 지음 / 현암사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목민심서, 마음으로 읽는 다산 정신 2005 / 정약용 지음 ; 장승희 풀어씀 / 풀빛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 조선시대 문묘 종사 논쟁 읽기 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 조선시대 문묘 종사 논쟁 읽기 2010 / 김용헌 지음 / 웅진씽크빅
기호유학 연구 기호유학 연구 2009 / 황의동 지음 / 서광사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1
40대0
50대1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1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