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일제의 축산정책과 농축산 조직의 축산사업
1. 일제 축산정책의 전개과정
1) 전시체제 이전
2) 전시체제 이후
3) 목장설립 정책
2. 축산동업조합의 축산사업
1) 축산동업조합의 설립과 해산
2) 축산동업조합의 축산사업
3) 제주도축산동업조합의 축산사업
3. 농촌진흥운동의 축산사업
4. 제주도농회의 축산사업
1) 제주도농회의 운영조직
2) 제주도농회의 축산사업
제2장 일제시기 목장조합의 설립과정
1. 목장조합의 등장배경
1) 대한제국기 제주지역 관유목장
2) 1910~20년대 공동목장 등장
3) 1930년대 공동목장 등장
2. 목장조합의 설립과정
1) 자생적 목축조직의 해체
2) 기설 목장조합 설립
3) 신설 목장조합 설립
3. 목장조합 설립에 대한 주민의 대응
1) 목장조합 설립에 대한 반발
2) 공동목장용지 기부
3) 마을연합형 목장조합 조직
제3장 목장조합의 목장용지 확보실태
1. 공동목장용지의 출현배경
1) 토지조사사업과 목장용지
2) 면제실시와 목장용지
2. 공동목장용지의 확보방법별 실태
1) 매수지 확보 실태
2) 차수지 확보 실태
3) 기부지 확보 실태
3. 공동목장용지의 읍면별ㆍ소유주체별 실태
1) 읍면별 공동목장용지 실태
2) 소유주체별 공동목장용지 실태
제4장 목장조합의 유형과 운영체계
1. 목장조합의 유형분류
2. 목장조합의 운영조직
1) 목장조합 관리조직
2) 목장조합 실행조직
3. 목장조합의 목장운영
1) 목장조합규약 적용
2) 공동목장 공유자원 관리
3) 공동목장의 목축시설
제5장 목장조합의 변동과 재정실태
1. 일제말기 제주지역 목장조합의 변동
2. 목장조합의 재정구조
3. 목장조합의 수입실태
1) 세입예산 구조
2) 조합비 징수
3) 현금출납부 수입구조
4. 목장조합의 지출실태
1) 세출예산 구조
2) 현금출납부 지출구조
맺음말
보론 : 제주도의 목축문화
부록
부록 1. 마을공동목장조합 규약(1934)
부록 2. 읍면별 마을공동목장조합 국공유지ㆍ사유지ㆍ확보실태(1943)
부록 3. 읍면별 마을공동목장조합 매수지ㆍ차수지ㆍ기부지 확보실태(1943)
부록 4. 제주도 마을공동목장조합의 변동(1934~2010)
■ 참고문헌
■ 일문초록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