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세계정치, 더 가깝게 동아시아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들을 기존 국제정치학의 프레임 속에서 충분히 검토하면서, ‘커뮤니케이션’이라는 개념에서는 어떻게 바라보고, 어떤 해법을 찾아갈 것인지에 대해 첨단의 실험을 진행한다.
목차
서문
제1장 냉전과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의 구조 - 정보기술의 국제정치적 구성 / 최인호
I. 인터넷 이면의 권력작용
II. 인터넷과 냉전체제의 구성적 관계
1.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의 이중구조
2) 냉전체제와 정보기술의 국제정치적 구성
III. 1950년대 소련의 핵개발과 SAGE의 건설
1. 소련의 핵개발과 대공방어계획
2. 1950년대 집중적 정보기술 관리구조
3) SAGE 계획의 수립과 건설
IV. 소련의 ICBM 개발과 ARPANET의 건설
1. 소련의 억지능력 향상과 유연반응전략의 채택
2. 1960년대 복합적 정보기술 관리구조
3) ARPANET 개발의 과정
V. 정보기술의 변환과 국제정치
제2장 ICT 교역의 글로벌 거버넌스 / 강하연
I. 새로운 경제 질서의 부상
II. ICT 기반 서비스경제의 부상
III. ICT 교역의 글로벌 거버넌스의 함의
IV. 부상하는 ICT 교역 글로벌 거버넌스
V. ICT 기반 교역의 세계질서 재편
제3장 전자정부와 정부개혁 - 미국과 중국의 사례 비교분석 / 정종필, 손붕
I. 전자정부의 개념과 문제 제기
II. 전자정부에 대한 사회구성론적인 시각
III. 미국에서의 전자정부
1. 전자정부법(E-Government Act)
2. 투명성과 열린 정부에 대한 각서(Memorandum on Transparency and Open Government)
IV. 중국에서의 전자정부
V. 미국과 중국의 전자정부 비교분석
VI. 각국에서 상이한 전자정부의 용도
제4장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과 세계정치 / 김범수
I.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II. 문화와 세계정치
III.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양상과 세계정치
1. 지배
2. 충돌
3. 공존
4. 공진화
5. 혼종
IV.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세계정치적 함의
제5장 국제정치경제의 변화와 미디어 지구화론 / 문상현
I. 국제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
II. 문화제국주의론의 등장 배경과 이론적 주장
III.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문화제국주의론에 대한 비판
IV. 문화산업의 지구화에 대한 대안적 논의
V.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공간적 접근의 의의
제6장 중국과 한국의 사이버민족주의 비교연구 서언 / 서이종, 탕레이
I. 인터넷 공간에서의 민족주의적 열기
II. 사이버민족주의와 중국과 한국의 사례
III. 중국과 한국의 사이버민족주의 발전과정
IV. 중국과 한국의 사이버민족주의의 사례: 고구려 문제
V. 인터넷 공간에서 소통적 민족주의로의 발전
제7장 커뮤니케이션, 초국가적 공론장, 그리고 초국가적 연대 -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를 중심으로 / 신기영
I.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커뮤니케이션의 지구화
II. 초국가적 공론장 이론
1. 주권국가 전제
2. 규범적 정당성
3. 정치적 실효성
III. 초국가적 공론장과 초국가적 연대
IV.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아시아시민연대: 동아시아와 초국가적 공론장의 가능성
1. 다양한 단체들의 네트워크형 초국가적 연대
2. 초국가적 연대의 정치적 실효성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