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남도 인물 70인과 함께 써내려간 남도 역사기행. 역사교사인 저자 노성태는 인구와 문화의 집중으로 인간의 삶이 획일화된 이 시대 문제의 해법으로, 글로벌과 지역 문화 정신의 동행(同行)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지역 문화와 역사 속에서 미래의 정신과 희망을 찾아내는 통찰력으로 <남도의 기억을 걷다>를 펴내게 되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머리말

제1부 문화원형의보고, 남도
1 1억 년 전 남도는 공룡들의 낙원
2 선사시대의 타임캡슐, 순천 죽내리 유적
3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 화순 고인돌
4 청동 주물공장, 영암 거푸집
5 마한인의 삶의 비밀, 광주 신창동 유적
6 5~6세기 한일ㆍ고대사의 열쇠, 월계동 장고분
7 부활되어야 할 왕국, 마한
8 일본 태자의 스승이 된 구림 출신 왕인
9 불교의 최초 도래지, 영광 법성포
10 명문이 새겨진 개선사지 석등
11 동국 선종의 종찰, 장흥 보림사
12 최고의 걸작, 쌍봉사 철감선사 승탑
13 해신으로 부활한 해상왕 장보고
14 전설이 된 견훤의 땅, 광주

제2부 불교 개혁의 땅, 남도
15 고려시대 또 하나의 사직, 나주
16 곡성의 성황신이 된 고려 일등 공신 신숭겸
17 백제 부흥 운동의 거점, 담양 금성산성
18 고려청자의 메카, 강진
19 미스터리의 절, 화순 운주사
20 순천 송광사와 보조국사 지눌
21 강진 백련사와 원묘국사 요세
22 오키나와 암키와에 숨겨진 삼별초의 비밀
23 보성으로 옮겨진 문익점 부조묘

제3부 절의와 청백리의 고장, 남도
24 전국 최초의 향약 시행처, 칠석동 부용정
25 남도 의로움의 출발, 영사정 최형한
26 조선의 마르코 폴로로 불린 금남 최부
27 사림의 거두 조광조의 유배지, 화순 능주
28 신비복위소로 의로움을 떨친 눌재 박상
29 삼마태수로 불린 지지당 송흠
30 상여 멜 돈마저 남기지 않았던, 아곡 박수량
31 문묘에 배향된 호남 유일의 인물, 하서 김인후
32 소쇄처사 양산보의 보금자리, 소쇄원
33 이황과 사단칠정 논쟁을 벌인 고봉 기대승
34 유희춘이 남긴 보물 제260호 『미암일기』
35 시대를 앞선 고뇌의 지식인, 백호 임제
36 다섯 번 훼철된 자산서원과 곤재 정개청
37 호남 최초의 의병장이 된 건재 김천일
38 「출사표」에 비견되는 「마상격문」과 고경명
39 남강에 몸을 던진 논개 남편, 최경회 의병장
40 비운의 의병장 충장공 김덕령과 취가정
41 행주대첩의 숨은 공로자, 망암 변이중
42 남도 세곡의 집합지, 나주 영산창
43 화엄사 각황전과 대웅전의 절묘한 조화
44 일본 성리학의 아버지, 수은 강항
45 『남한일기』를 남긴 휴헌 문재도
46 실학의 산실 다산초당과 정약용
47 조선을 유럽에 처음 알린 하멜과 강진 병영
48 공재 윤두서 자화상에 숨겨진 비밀
49 정약전과 최익현의 유배지, 흑산도
50 함평 농민 항쟁의 주동자, 정한순

제4부 민주·인권·평화의 성지, 남도
51 ‘문불여장성’의 주인공, 노사 기정진
52 3일천하의 주역, 송재 서재필
53 영국군이 불법 점령한 여수 거문도
54 동학 농민군 전투의 분수령, 장성 황룡 전투
55 동학 농민군 최후의 격전장, 장흥 석대들 전투
56 한국 독립운동의 대부, 홍암 나철
57 피아골 연곡사에 스러진 녹천 고광순
58 한말 형제 의병장, 김태원과 김율
59 부자가 의병장이 된 양진여와 양상기
60 머슴 출신 의병장, 담살이 안규홍
61 절명시 4수를 남기고 자결한 매천 황현
62 광주학생항일운동의 잊힌 주역, 장재성
63 함평에 재현된 임시정부 청사와 일강 김철
64 암태도 소작쟁의를 승리로 이끈 서태석
65 항일의 땅 해방의 섬, 소안도와 송내호
66 「쑥대머리」로 명창의 반열에 오른 임방울
67 중국 혁명 음악의 대부, 정율성
68 기인으로 불린 춘담 최병채와 무광사
69 영화 「화려한 휴가」의 실제 모델,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70 행동하는 양심, 한국의 현대사가 된 후광 김대중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군산의 근대 풍경  : 역사와 문화 군산의 근대 풍경 : 역사와 문화 2015 / 공종구, 김민영, 김두헌, 류보선, 송석기, 장은영, 최성윤, 최영호 공저 / 선인
늬들이 군산을 알아? : 역사의 아픔을 간직한 지붕 없는 박물관 군산 이야기 늬들이 군산을 알아? : 역사의 아픔을 간직한 지붕 없는 박물관 군산 이야기 2021 / 지음: 김병윤, 김지영 / 감미사
늬들이 군산을 알아? : 역사의 아픔을 간직한 지붕 없는 박물관 군산 이야기 늬들이 군산을 알아? : 역사의 아픔을 간직한 지붕 없는 박물관 군산 이야기 2021 / 지음: 김병윤, 김지영 / 감미사
지리산 이천년  : 우리 민족정신과 문화의 꽃 지리산 이천년 : 우리 민족정신과 문화의 꽃 2010 / 권순목 집필자 / 보고사
지리산의 장소와 경관 지리산의 장소와 경관 2013 / 문동규 지음 / 새미
지리산의 장소와 경관 지리산의 장소와 경관 2013 / 문동규 지음 / 새미
샘고을(정읍)으뜸 마을 농뫼 : 진산 샘고을(정읍)으뜸 마을 농뫼 : 진산 2016 / 지음: 김익두, 김민진, 이용찬, 허정주 / 민속원
남도의 기억을 걷다  : 시대와 소통하는 인물역사기행 남도의 기억을 걷다 : 시대와 소통하는 인물역사기행 2012 / 노성태 지음 / 살림터
다시, 남도의 기억을 걷다: [청소년]: 남도가 품은 역사와 인물 이야기 다시, 남도의 기억을 걷다: [청소년]: 남도가 품은 역사와 인물 이야기 2023 / 지음: 노성태 / 살림터
혼돈의 지역사 : 식민·분단·전쟁기 전남 지역의 사회사. 상 혼돈의 지역사 : 식민·분단·전쟁기 전남 지역의 사회사. 상 2023 / 지음: 박찬승 / 한양대학교출판부
혼돈의 지역사회 : 식민·분단·전쟁기 전남 지역의 사회사. 하 혼돈의 지역사회 : 식민·분단·전쟁기 전남 지역의 사회사. 하 2023 / 지음: 박찬승 / 한양대학교출판부
영산강 뱃길과 포구 연구 영산강 뱃길과 포구 연구 2012 / 지은이: 변남주 / 민속원
영산강 뱃길과 포구 연구 영산강 뱃길과 포구 연구 2012 / 지은이: 변남주 / 민속원
(유물의 장식과 조형미로 알아보는) 나주, 옛사람들의 멋 (유물의 장식과 조형미로 알아보는) 나주, 옛사람들의 멋 2016 / 지은이: 김태주 / 인간희극
한국사 속의 나주 : 전라도 정명 천년 기념 한국사 속의 나주 : 전라도 정명 천년 기념 2018 / 편자: 나주시, 무등역사연구회 ; 저자: 김덕진, 김만호, 류창규, 박중환, 이계표, 이중효, 임선화, 정청주, 홍영기 / 선인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인천 古宅 : 세월의 문을 열다 인천 古宅 : 세월의 문을 열다 2017 / 지음: 경인일보 특별취재팀 / 다인아트
쉿! 우리동네 : 우리 땅 곳곳에 숨어 있는 명소 쉿! 우리동네 : 우리 땅 곳곳에 숨어 있는 명소 2019 / 글: 연합뉴스 지음팀 / 연합뉴스
땅의 역사. 1, 소인배와 대인들 땅의 역사. 1, 소인배와 대인들 2018 / 글·사진: 박종인 / 상상출판
제국에서 민국으로 가는 길 : 대한민국 임시정부 27년을 걷다 제국에서 민국으로 가는 길 : 대한민국 임시정부 27년을 걷다 2019 / 글: 박광일 ; 사진: 신춘호 / 생각정원
니하오, 인천 차이나타운 니하오, 인천 차이나타운 2018 / 지음: 정연학 / 글누림
골목길 역사산책. 1, 서울편 골목길 역사산책. 1, 서울편 2018 / 지음: 최석호 / 시루(가디언)
골목길 역사산책. 2, 개항도시편 골목길 역사산책. 2, 개항도시편 2018 / 지음: 최석호 / 시루(가디언)
땅의 역사. 1, 소인배와 대인들 땅의 역사. 1, 소인배와 대인들 2018 / 글·사진: 박종인 / 상상
물길, 세종대왕 꿈을 담다 : 초정약수권 물길, 세종대왕 꿈을 담다 : 초정약수권 2014 / 연지민 글 ; 손순옥 그림 ; 문상욱 사진 / 샘터사
골목 안 통영 : 강구안 골목이 건네는 이야기 골목 안 통영 : 강구안 골목이 건네는 이야기 2014 / 최강문 글 / 올벼
강화도의 기억을 걷다  : 옛사람의 손길과 우리 발길의 만남 강화도의 기억을 걷다 : 옛사람의 손길과 우리 발길의 만남 2014 / 지음: 최보길 / 살림터
문화유산, 알면 보이는 것들 : 서울편 문화유산, 알면 보이는 것들 : 서울편 2019 / 지음: 박혜진 / 프로방스
대마도는 본시 우리땅이다  = 對馬島対馬島本是我國之地  : 우리국토 역사문화 답사기. 1-2 대마도는 본시 우리땅이다 = 對馬島対馬島本是我國之地 : 우리국토 역사문화 답사기. 1-2 2014 / 글·사진: 이석우 / 편백나무
만국공원의 기억 만국공원의 기억 2006 / 문화의 窓 총서 편집위원회 엮음 / 인천문화재단
숲길, 오래된 미래를 품다 : 상당산성권 숲길, 오래된 미래를 품다 : 상당산성권 2014 / 연규상 글 ; 강호생 그림 ; 송봉화 사진 / 샘터사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