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젊은 문화평론가 문강형준은, 2006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 사회에 관련된 문화 비평을 묶었다. 저자는 <무한도전>에서 <나꼼수>까지 우리가 늘 접하는 대중문화를 끊임없이 의심하고, 분석하고, 뒤집어보고, 고민해야 한다고 얘기한다. 드라마, 영화, 예능, 가요 등 대중문화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다양한 의미를 만들어내고, 현실을 반영하고, 사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목차
서문-오해에 대하여
1 자기관리의 시대-신자유주의와 서바이벌
〈슈퍼스타K 2〉, 또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스펙터클
우리 시대의 응원가
연예인 서바이벌에서 ‘전 국민 서바이벌’로
경제학과 드라마
케익을 먹으면서 가지려고 하기
자기관리의 시대
그 진실의 순간
신자유주의적 회복 서사
젊은 날의 초상-최근 한국 영화에 드러나는 청년의 이미지
〈무한도전〉과 신자유주의-신자유주의 시대 일상과 노동에 관한 ‘리얼 버라이어티 쇼’
2 스마트한 인간의 탄생-미디어와 메시지
시대의 꼼수
재미의 희망, 공포의 희망
스페셜 닭대가리
스마트한 인간의 탄생
웃음이 죽은 시대의 웃음
은조는 어떻게 노무현을 실현하는가-〈신데렐라 언니〉와 자유주의 판타지
몸이라는 전쟁터
“예, 셰프?”-〈파스타〉와 카리스마적 통치
‘루저’의 정치학
명품과 폭력
폭력이 다른 폭력으로 잊혀지네-‘나영이 사건’에 대한 단상
3 폭동은 진행 중-권력과 정치
폭동은 진행 중
수치를 모르는 시대
박멸의 정치
천안함과 우파의 자격
좌파의 시간, 좌파의 장소
우파의 신화, 좌파의 신화
대학의 종언
자본의 법과 죄수의 딜레마-‘아싸’ 현상이 던지는 질문들
지금, 여기에서 첫 번째 단추를 끼우기
호명의 정치-IMF 시대의 국민 만들기
4 식모의 미소-중심과 주변
인종주의와 맞선 진짜 싸움은 어디에서 시작되는가
청소년, 또는 쾌락의 매개물
소리와 분노
자기 땅에서 유배된 자들의 죽음
조롱, 절망, 희망-〈살인의 추억〉, 〈괴물〉, 그리고 〈마더〉의 삼각 구도
그들 각자의 ‘양미숙’
식모의 미소
5 구원은 비밀스러운 곳에 있지 않다-일상과 윤리
‘행복전도사’의 죽음
사랑에 빠진다는 것
포르노그래피라는 ‘상식’
악에 대하여
아버지의 이름
죽음이 질문하는 삶
구원은 비밀스러운 곳에 있지 않다
6 논다는 것의 의미-노동사회와 문화사회
노동사회 비판과 문화사회의 이론적 지도
박물화된 놀이
논다는 것의 의미
‘5분 대기조’ 사회 넘어 상상력 혁명을 제안한다
7 착한 멘토들-우상과 허상
안철수, 또는 탈정치 시대의 판타지
즐거운 노예, 부드러운 지배
멜로드라마 정치
착한 멘토들
스타의 문화정치학
‘소녀시대’라는 시뮬라크르
소녀와 삼촌들
〈꽃보다 남자〉의 인기는 어디에서 오는가
이상한 나라의 재범
우리 시대 스포츠 영웅의 정치학
태양을 피하는 법-‘월드 스타’ 비에 관한 단상들
숭례문이라는 환상
발표 지면
감사의 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