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 머리에
제1부 정지용은 왜 불안했는가
정지용과 청록파 시인들
1. 머리말
2. 정지용과 청록파 시인들의 관계
3. 정지용의 시에 나타난 '결핍'의 자연관
4. 정지용문학과 청록파문학의 동질성과 이질성
5. 맺음말
『문장』에 발표한 정지용 '한적시'의 특성
1. 머리말
2. 정지용 문학의 변모양상
3. 『문장』의 전통주의와 정지용의 정경교융의 인식태도
4. 『문장』을 통한 지용의 문학활동의 문학사적 의의
5. 맺음말
제2부 정지용은 무엇을 지향했는가
정지용과 '문장파 근대미술가들'
1. 머리말
2. 근대시문학에서의 '향토적 정조'의 형성과정과 한계
3. 1930년대 미술화단의 흐름과 김용준의 미학론
4. 『문장』에 나타난 정지용과 김용준의 간텍스트성
5. 맺음말
한국문화사의 관점에서 본 정지용
1. 정지용 시비 「압천」-한일문화교류의 가교
2. 대중가요 「향수」와 가곡 「고향」-불멸의 노래, 불멸의 시인
3. 남북문학사에서의 정지용-다시 부활한 지용
제3부 정지용은 왜 항상 '새로운 것'에 집착했는가
『문장』과 정지용
1. 머리말
2. 1930~1940년대 시대상과 잡지 『문장』
3. 『문장』의 지향점과 문화사적 위상
4. 『문장』에 나타난 정지용의 족적
5. 맺음말
제4부 북한에서 정지용은 부활했는가
북한문학사에서의 정지용
1. 머리말
2. 정지용 시인의 '마지막 행적'을 둘러싼 논란
3. 『조선대백과사전』에 서술된 정지용
4. 북한문학사에서의 정지용 문학의 평가
5. 맺음말
부록
1. 정지용 연보
2. 정지용 시작품 발표 연보
3. 정지용 연구 총목록
4. 정지용 시비 및 책 표지
5. 잡지 『문장』 표지화
6. 조풍연의 결혼화첩
7. 정지용 '마지막 행적' 관련 북한 『통일신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