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물질의 기본단위인 원자의 구조를 처음 연구하기 시작한 1890년대부터, 원자가 붕괴되면 에너지가 발생한다는 사실의 발견, 수소의 핵을 융합시켜 태양에서와 같은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이론과 실험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목차
서문 : 제2의 원자력 시대
제1장 원자력은 인류의 미래
전력은 인류를 움직이는 동력
환경을 지키는 최선의 대안은 원자력
제2차 세계대전과 원자폭탄 개발
평화를 위한 과학자들의 노력
세계 원자력 정상회의
제2장 원자력시대를 개척한 위대한 과학자들
물질의 최소 단위를 생각한 옛사람들
새롭게 알려진 원자의 구조
주기율표의 등장
음극선의 발견
X-선의 첫 발견
톰슨의 전자 발견과 원자 모형
원자력 에너지를 예언한 러더퍼드
동위원소를 발견한 과학자
더 정확한 보어의 원자 구조 모델
방사선의 첫 발견
20세기 원자력 시대의 시작
원자의 에너지 공식 E=mc²
거듭 발견되는 원자의 신비
제3장 원자폭탄 개발의 뒷이야기
제2차 세계대전의 전운(戰雲)
우라늄의 핵분열 현상 발견
미국으로 망명한 핵물리학자들
원자폭탄을 촉구한 아인슈타인-질라드의 편지
원자폭탄을 제조한 맨해튼 계획
최초의 원자폭탄 실험
실측된 원자폭탄의 위력
계속된 수소폭탄의 개발
강국들의 수소폭탄 경쟁
수소폭탄의 별칭 열핵폭탄
스파이가 만든 소련의 원자폭탄
핵무기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 노력
제4장 원자력의 위험과 안전
원자력발전소가 부른 30년 전의 사고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고의 재앙
방사선이란 무엇인가?
방사성 동위원소의 방사선
인체는 방사선을 감각하지 못한다
인체에 위험한 방사선량
방사선으로부터 안전하려면
방사능 검출 안전장치 - 가이거 계수관
제5장 원자력발전소의 큰 희망
원자력 에너지의 넓은 용도
온실가스 제로의 발전소
화력발전의 문제점들
원자력발전소의 중심부 - 원자로
원자로(경수로)의 종류와 구조
'제 4세대 원자로'시대
차세대 원자로는 고속증식로
인류 최대의 희망 - 핵융합원자로의 개발
에너지 문제를 영구히 해결할 핵융합원자로
핵융합원자로 토카막의 등장
한국의 핵융합 원자로 KSTAR
우리나라의 원자력 발전 현황
제6장 방사선과 방사성동위원소
방사선 발견 이야기
방사성동위원소란 무엇인가?
동위원소의 종류는 수백 가지
원자력에너지가 되는 원소들
인공으로 만든 초(超)우라늄 원소들
제7장 세계를 변화시킨 원자력의 다용도
원자력으로 추진하는 군함과 상선
우주개발에 이용되는 원자력
원자력 추진 로켓
우주기지의 원자력 발전소
운석충돌 위기를 구할 원자력 에너지
의학에 이용되는 X-선 방사선
치료 도구가 된 감마선
진단에 이용되는 핵의약(核醫藥)
방사선과 컴퓨터를 이용한 CT와 MRI
방사선을 이용한 암 수술
산업에 이용되는 방사선
방사선을 이용한 누수탐지
원자력시계가 된 세슘-137
방사선으로 하는 비파괴검사
공항검색대의 X-선 검사장비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연대측정
방사성탄소(C-14)의 위대한 공로
농업에 이용되는 방사성동위원소
방사선으로 추적한 광합성 과정
방사선으로 해충을 퇴치
음식의 장기 보존에 이용되는 방사선
화학분석에 이용되는 스펙트로스코프
원자력으로 건설하는 운하
원자력으로 건설하는 지하 석유 저장고
원자력의 안전 관리
제8장 우리나라 원자력발전소의 이모저모
밝은 빛, 맑은 공기, 푸른 하늘, 푸른 에너지를 생산하는 원자력 발전소
원자력발전소는 산업발전과 녹색성장의 주역
한국 원자력발전소의 전력 생산 규모
원자력발전소의 놀라운 안전 기술
원자력발전소의 안전 평가와 가동 수명 연장
바닷물로 증기를 냉각시키는 우리나라 원자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의 방사선 폐기물 저장고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을 국민에게 홍보
새로운 원자력발전소 10기 건설 현황
발전 방식에 따른 발전단가(2008년 기준, 단위 kWh)
발전 방식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비교
아랍에미리트(UAE)로 수출되는 한국형 원자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주변의 환경 관리
원자력 관련 중요 용어 해설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