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근현대사 연구를 이끌어 온 서중석 교수가 이야기하는 한국 근현대사. 기존의 현대사 분야 책들은 주로 통사가 아니면, 소재를 중심으로 한 강의 중심이었다면 현대사를 관통하는 일관된 문제의식인 ‘지난 100년 동안 우리는 어떤 나라를 세우려고 했는가?’를 가지고 각 시대별로 재서술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
1장 일제가 만들려 한 국가, 한국인이 세우려 한 나라 Ⅰ 일제의 지배정책 들어가며 정치적 특징―총독 전제통치와 계급분열정책 동화정책 동화교육 황국신민화운동·황국신민화교육 Ⅱ 독립운동과 새나라 구상 들어가며 3·1운동 이전 독립운동 기지건설운동 근대의 새로운 출발 3·1운동 3·1운동 이후 독립운동과 국가 건설 구상 일제의 만주침략 이후 독립운동 일제 말 건국 활동 맺으며 주
2장 해방 직후 여운형의 국가 건설 방향 ―인민공화국·인민당·신탁통치 문제를 중심으로 들어가며 여운형과 인민공화국 인민당 발당 시 여운형의 국가 건설 방향 여운형과 신탁통치 문제 맺으며 주
3장 해방 후 남북 주요 정치세력의 국가 건설 방안 들어가며 국가권력 및 기구의 구성 국가 건설의 방향―사회경제적 성격 및 친일파 문제를 중심으로 맺으며―통일민족국가 건설의 가능성과 관련하여 주
4장 이승만의 단정운동·반공국가와 여순사건 당대 남한의 축소판이자 남한 현대사의 축소판, 여순사건 이승만과 여순사건의 발발 여순사건과 극우반공체제의 형성 맺으며 주
5장 4월혁명 이후 새나라 건설 방향과 혁명입법 허정과도정권의 성격과 내각책임제 개헌 7·29 총선과 장면정권의 출범 혁명입법 추진 장면정권의 통일정책과 대미·대일 관계 주
6장 부마항쟁과 박정희 유신국가의 말로 들어가며 부마항쟁이 대규모 항쟁으로 폭발한 요인 민주화운동에서 차지하는 부마항쟁의 위상 부마항쟁으로 인한 유신체제 붕괴의 의의 맺으며 주
7장 친일파가 만들려 한 국가 왜 친일행위 청산이 중요한가 친일파 청산을 좌절케 한 요인 친일파가 만들려 한 국가 6월항쟁 이후 친일행위청산운동 주
8장 과거사 청산과 새로운 출발 들어가며 6월항쟁 이전의 과거사 문제 6월항쟁 이후 특별법이 제정되기까지 과거사위원회의 활동 과거사 청산으로 새로운 출발을 주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금서, 시대를 읽다 : 문화투쟁으로 보는 한국 근현대사2012 / 백승종 지음 / 산처럼
번안 사회 : 제국과 식민지의 번안이 만든 근대의 제도, 일상, 문화2018 / 지음: 백욱인 / Humanist(휴머니스트 출판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