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1,370년 전 백제의 타임캡슐을 열다
미륵사지 사리장엄구 발견의 충격
미궁에 빠진 선화공주
한 해 6차례나 열린 학술대회
사리장엄구 발견, 그 뒤 10년
새로운 전설과 역사가 만들어지는 땅, 익산
이 책의 서술 방향과 구성
제1장 익산 지역 고적조사의 여명
일제강점기, 한반도 고적조사의 시작
세키노의 첫 번째 익산 답사
1915년 미륵사지 석탑의 보수
1917년 익산 쌍릉 발굴
후지시마의 미륵사지 가람배치론
우현 고유섭의 석탑 연구
두계 이병도의 서동설화 연구
왕궁리 5층 석탑의 수리와 사리장엄구의 발견
제석사지와 《관세음응험기》의 발견
원광대 마한ㆍ백제문화연구소의 발족
익산문화권과 수로 교통
백제문화권 개발 사업의 시작
제2장 익산의 백제 왕궁과 사원의 조사
왕궁리유적의 초기 발굴
공방의 발견과 분위기의 반전
수세식 대형 화장실의 발견
익산에서 찾은 백제 왕궁
왕궁리 공방의 특징
왕궁에서 사원으로
5층 석탑과 사리장엄구의 비밀
금강경판의 제작 시기
금강경판의 제작 방법
연동리 석조여래좌상과 광배
제석사지 발굴의 시작
제석사지의 거대한 목탑지
제석사지 폐기장 유적의 발굴
제석사지와 왕궁리유적의 위치 관계
제3장 미륵사지 발굴과 동탑의 복원
미륵사지의 발굴 전 상황
중원 목탑지와 금당지의 발견
마침내 드러난 가람배치
특이한 모양의 금당지 기단
백제 멸망 이후에도 이어진 법등
연못지와 사자사지의 발굴
라이벌, 황룡사지와의 비교
동탑을 복원하기까지
미륵사지 석탑은 몇 층이었을까
동탑의 복원 과정과 교훈
미륵사지유물전시관의 개관
미륵사지의 보존과 활용
제4장 미륵사지 서탑의 보수와 선화공주
서원 석탑의 해체 경위
서탑 해체 과정에서 밝혀진 것들
서탑 남서쪽 모서리에서 발견된 석인상
사리용기와 진신사리의 발견
청동합과 각종 공양품
사리 공양 의례와 공양품
사리봉영기의 내용
선화공주 논쟁
《삼국유사》 무왕 조의 설화적 접근
미륵사지 3원의 배치 계획
서탑 성토층에서 나온 수막새
출토 기와로 본 미륵사지의 조영 순서
제5장 쌍릉의 재조사와 백제 무왕
문헌기록에 보이는 쌍릉
1917년 쌍릉의 조사 성과
100년 만에 나온 발굴 보고서
대왕묘 주인공에 대한 논란
대왕묘 봉토에서 확인된 판축 기법
부여 최대 고분보다 더 큰 대왕묘의 석실
대왕묘에서 발견된 인골
대왕묘의 묘도가 말하는 것
무왕의 부모는 누구인가
소왕묘에서 나온 유물들
소왕묘는 사택왕후의 무덤일까
소왕묘의 피장자는 누구일까
무왕의 익산 개발 배경
에필로그
감사의 글
부록
익산 지역의 백제 주요 유적 조사 및 정비 연표
익산 지역의 백제 주요 유적 분포지도
사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