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목회자가 맡은 가장 중요한 역할은 하나님 앞에서 백성을 중재하는 신학자가 되는 것이다. 저자는 성서가 그려내는 목회자상과 교회사의 주요 인물, 기독교 신학에 기초하여, 목회자들에게 그들의 회중과 공동체 안에서 공공신학자의 역할을 하라고 촉구한다.
목차
서문 / 오언 스트래헌·케빈 밴후저
서론: 목회자, 신학자, 공적 인물 / 케빈 밴후저
문제: 잃어버린 전망
학계: 신학의 권력과 지배자?
교회: 목회자를 사로잡고 있는 그림
사회: 공적 담론의 어려움
제안: 독특한 공적 인물로서의 목회자-신학자
신학자: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행하시는 일을 말함
공공: 공동체 안에서, 공동체를 위해 사람들과 대화함
목회자: 사람들을 그리스도 안에서 든든히 서게 하는 유기적 지식인으로서의 공공신학자
전망: ‘그리스도 안에’ 있는 바의 사역
목회적 관점 | 목회자-신학자가 되기 위한 실천 여섯 단계 / 제럴드 히스탠드
목회자로서 신학하는 일곱 가지 방법 / 조시 무디
1부 성서신학과 역사신학
Chapter 1. 예언자, 제사장, 왕: 목회직에 관한 간략한 성서신학 / 오언 스트래헌
구약의 옛 언약 사역
제사장: 성별된 백성을 위해 성별됨
예언자: 객관적 계시의 선포자
왕: 신적 지혜의 화신
예수의 새 언약 사역에 참여함: 신약
제사장으로서의 목회자: 은혜를 전함
왕으로서의 목회자: 지혜를 전함
예언자로서의 목회자: 진리를 전함
결론: 신학적 직분으로서의 목회직
목회적 관점 | 공공신학자로서의 목회자 / 멜빈 팅커
인간의 기원: 목회자-신학자를 위한 시험 사례 / 토드 윌슨
기술에 관한 실천신학 / 짐 샘라
Chapter 2. 학자와 성인: 목회직의 간략한 역사 / 오언 스트래헌
초대교회
이레네우스와 신앙의 규칙
초대교회 교회 조직의 발전
크리소스토무스와 아우구스티누스, 교사로서의 목회자
직분으로서의 목회직
중세 시대: 스콜라주의와 수도원 운동
종교개혁기의 각성: 개신교 목회자들
신학적 목자: 청교도와 진리의 실용성
‘하나님 일’을 하는 사람: 에드워즈주의자들과 목회 영역
현대의 전환: 대중주의와 전문성, 길들여진 목회직
희미한 희망의 빛: 해럴드 오켕가와 신복음주의의 대담함
결론: 어떤 목회직을 향하여?
목회적 관점 | 구원하는 믿음에 관한 신학은 우리 교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 웨슬리 패스터
진리를 위한 공간 / 케빈 드영
2부 조직신학과 실천신학
Chapter 3. 복음의 기분: 목회자-신학자의 목적 / 케빈 밴후저
신학의 다양한 기분: 죽음과 부활 사이에서
현실의 목회: 직설법의 신학
이해의 목회: 하나님 말씀의 사역
하나님 말씀 읽기: 성서 해독력
세상 읽기: 문화 해독력
소설 읽기: 인간 해독력
(새) 생명의 목회: 명령법의 신학
“지혜를 얻으라”
“사랑을 더하라”
“그리스도를 본받으라”
신학의 목적: 신학교는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목회적 관점 | 죽음에 관해 / 데이비드 깁슨
진리와 선, 아름다움으로서 복음의 교리를 설교하라 / 빌 카인스
설교를 위한 독서 / 코닐리어스 플랜팅가
Chapter 4. 하나님 집의 장인들: 목회자-신학자의 활동 / 케빈 밴후저
목회적 대위임: ‘제자 삼으라’, ‘하나님의 집을 세우라’
“이 반석 위에”: 어떤 반석? 누구의 기초?
제자들을 자라게 함: 하나님의 밭
성전을 세움: 하나님의 건물
에스라-느헤미야: 재건과 개혁
에베소서: 살아 있는 성전인 교회
전도자: 그리스도 안에 있는 바를 선포함
상담: 목회자의 말씀 사역
심방: 몸으로 행하는 말씀 사역
설교: 선포하는 말씀 사역
교리문답 교사: 그리스도 안에 있는 바를 가르침
예전 집례자: 그리스도 안에 있는 바를 기림
모임: 무엇이/어느 곳이/언제가 예배인가?
기도: 정말로 현실적으로 살아가기
성찬: 주의 만찬
변증가: 그리스도 안에 있는 바를 논증함
목회적 관점 | 설교의 드라마 / 가이 데이비스
강단 변증가로서의 목회자-신학자 / 제이슨 후드
결론: 공공신학자로서의 목회자에 관한 55개 논제 / 케빈 밴후저
주
기고자 소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