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부 역사의 현재화: 침묵당한 자를 위한 역사 쓰기
세월호 참사, 실재의 침입 그리고 행위의 시민적 주체 / 전현식
1. 세월호 사건, 그 이전과 이후 그리고 실재의 침입
2. 세월호 참사, 악의 평범성과 이데올로기적 환상
3. 실재계, 상징계, 이데올로기의 삼원적 구조
4. 상징계의 자동인형, 냉소적 주체에서 행위의 시민적 주체로
5. 나오는 말
아우슈비츠 ‘이후(以後)’ 신학에서 세월호 ‘이후(以後)’ 신학을 보다 / 이정배
1. 들어가는 글
2. 세월호 참사로 밝혀진 이 땅의 정치와 경제의 허상
3. 세월호 참사로 드러난 이 땅 기독교의 자화상
4. 이 땅에 공동체는 존재했는가?
5. 아우슈비츠 ‘이후’ 신학에서 세월호 ‘이후’ 신학을 보다
6. 아우슈비츠 ‘이후’ 기독론의 10개 명제와 세월호 ‘이후’ 신학, 기독론에서 성령론에로
7. 짧은 마무리
세월호 이후의 신약성서 읽기 / 김학철
1. 기억과 윤리
2. 씻어낼 수 없는 손들
3. 거절된 위로, 위로 받은 자의 몫
4. 통각(痛覺)의 신약성서 읽기
2부 냉소적 근대와 따뜻한 교회를 향한 열망
세월호 참사, 국가, 그리고 책임과 돌봄의 윤리 / 곽호철
1. 세월호 참사의 원인
2. 신자유주의만의 문제?
3. 신념 윤리에서 책임 윤리로
4. 정의 윤리에서 돌봄 윤리로
5. 맺는 글
세월호 참사 이후 민낯을 드러낸 한국 개신교의 두 갈래 / 김경호
1. 들어가는 글
2. 세월호 이후 유가족과 시민사회단체의 움직임
3. 세월호 참사 이후 개신교 움직임
4. 평가와 전망
5. 나가는 말
3부 고통의 정치화와 그 책략들
유족들의 시위를 종북세력으로 설정하는 정치 지향성의 분석 / 김혜경
1. 들어가는 말: 세월호 참사 이후 가톨릭교회의 대응
2. 교종에게 정치적 중립을 요구하는 사회
3. 유족들의 시위와 그것을 바라보는 눈
4. 한국 사회에 만연한 편향적 이데올로기
5. 우편향의 지배 문화
6. 장막 속의 한국정치
7. ‘권력’이라는 이름의 두 얼굴
8. 나가는 말
세월호 참사 언론 보도에 대한 기독교 문화 윤리적 비판 / 송용섭
1. 들어가며
2. 언론의 선전 기능과 세월호 보도
3. 세월호 참사 언론 보도 분석
4. 마치며
4부 신의 부재와 맘몬의 현존
세월호 참사로 드러난 신자유주의의 야만적 얼굴 / 박숭인
1. 들어가는 말
2. 세월호 사고의 물리적 원인에 내재한 신자유주의
3. 신자유주의의 본질
4. 재난 이후의 악몽에서 드러나는 신자유주의 민낯
5. 맺는말: 세월호 이후의 신학을 바라며
세월호 이후의 경제를 위한 신학적 시론 / 신익상
1. 들어가는 말
2. 세월호 참사의 경제적 의미: 시장사회화와 소득 불평등
3. 생명경제: 아가페 부름에의 응답
4. 생명경제와 소득 재분배
5. 생명경제와 지속가능성
6. 결론적 제안: 한국적 생명경제를 위하여
한국 교회는 자본주의에서 해방되어야 한다 / 박득훈
1. 머리말
2. 세월호 참사의 자본주의적 성격
3. 자본주의와 결탁한 한국 교회의 일그러진 얼굴
4. 한국 교회가 자본주의에서 해방되는 길
5. 맺음말
5부 기술문명시대의 망각된 기억과 치유
기억과 망각, 세월호 사건의 역사화의 과제 / 박종현
1. 세월호가 침몰하던 날
2. 숫자가 된 죽음들
3. 망각과 기억의 의지
4. 세월호의 이름을 잃은 죽음과 현대성
5. 현대 한국 교회는 구원의 공장인가?
6. 전가와 역전가
7. 공공적 신앙, 공공적 기독교가 가능한가?
8. 나가는 말
세월호 참사를 통해 돌아보는 기술문명 / 박일준
1. 들어가는 글: 인간과 기술의 이분화를 넘어서는 물음
2. 세월호 침몰 참사 속에 드러난 미래 제2기계시대의 모습들
3. 제1기계시대
4. 제2기계시대
5. 반복되는 눈물
6. 유기체 철학을 통한 희망의 전망: 인간과 기계의 공생
7. 나오는 글
세월호 생존 청소년의 애도에 대한 목회상담적 접근 / 오화철
1. 들어가는 말
2. 애도의 정의
3. 자기심리학에서 보는 청소년의 애도
4. 세월호에서 살아남은 청소년의 애도
5. 작용적 신학과 고백적 신학의 측면에서 본 청소년의 애도
6. 피학적 행동으로 본 애도의 문제
7. 나가는 말
6부 평범(한 날의) 성(聖)을 통해 돌아보는 초월의 지평
세월호 참사와 한국정치 그리고 포스트모던 유교 영성 / 이은선
1. 시작하는 말
2. 세월호 참사와 한국 사회
3. 세월호 참사와 신뢰의 그루터기
4. 포스트모던 유교 영성과 성(聖)의 평범성의 확대
5. 마무리하는 말: 한국적 삶 정치의 약속
권력의 자기 유지와 종교적 세상(世)·넘기[越] / 이찬수
1. 은총과 초월
2. 세월호의 세상 넘기
3. 법과 권력의 속살
4. 인간의 사물화
5. 개념적 혼성과 악의 평범성
6. 타자의 비인칭화
7. 폭력의 악순환
8. 도덕적 인간과 텅 빈 국가
법화경의 ‘불타는 집’의 비유를 통해 본 세월호 참사 / 김명희
1. 들어가기
2. ‘불타는 집’의 비유
3. ‘불타는 집’의 비유를 통해 본 세월호 참사
4. 비유를 통해 본 세월호 참사의 교훈
5. 나가는 말
주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