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부 방법론적 총론
제1장_ 공연문화학의 과제와 전망
1. 서론
2. 공연문화학의 원전 확충
3. 공연문화학의 방법론적 전망
4. 결론
제2장_ 한국희곡의 원전과 연구 방향
1. 서론
2. 한국희곡의 개념과 장르체계
3. 한국희곡의 원전과 영역
4. 한국희곡의 연구 방법과 방향
5. 결론
제3장_ 한국희곡사 연구의 방법론적 전망
1. 서론
2. 한국연극사의 전개와 극본 실태
3. 한국희곡의 장르적 실상
4. 한국희곡사의 전개 과정
5. 결론
제4장_ 한국음악 관계 문헌의 희곡학적 고찰
1. 서론
2. 음악 관계 문헌의 유형과 성격
3. 음악 관계 문헌의 희곡적 실상
4. 음악 관계 문헌의 예술사적 위상
5. 결론
제2부 불교문학과 공연예술
제1장_ 불교문학의 예술적 전개
1. 서론
2. 불교문학의 실상과 흐름
3. 불교미술의 실상과 전개
4. 불교음악의 실상과 전개
5. 불교무용의 실상과 전개
6. 불교연극의 실상과 전개
7. 결론
제2장_ 불교연극의 형성과 전개
1. 서론
2. 불교연극의 형성과 유통
3. 불교연극의 장르적 실상
4. 결론
제3장_ 불교고사의 소설·희곡적 전개
1. 서론
2. 불교고사의 변문적 유전
3. 불교고사의 소설적 전개
4. 불교고사의 희곡적 연진
5. 결론
제3부 강창문학과 공연예술
제1장_ 가요전설의 희곡적 전개-향가전설을 중심으로
1. 서론
2. 가요전설의 형성과 성격
3. 가요전설의 문학적 실상
4. 결론
제2장_ 강창문학의 희곡사적 전개
1. 서론
2. 강창문학의 중국적 배경
3. 강창문학의 한국적 형성 전개
4. 강창문학의 구조 형태
5. 강창문학의 유통 양상
6. 강창문학의 희곡사적 위상
7. 결론
제3장_ 강창문학의 판소리적 전개
1. 서론
2. 강창문학의 전통과 극본적 실상
3. 강창문학의 연행과 판소리와의 관계
4. 강창극의 변모와 판소리의 전개
5. 결론
제4장_ 판소리의 공연예술적 위상
1. 서론
2. 판소리의 개념과 장르
3. 판소리의 형성과 전개
4. 판소리의 연극적 실상
5. 판소리의 예술·문화사적 위상
6.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