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화의 본질을 깨닫고 그림으로 표현하기 위해 저자 본인이 직접 먹을 사용하여 그리기 기본법과 공간과 여백의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동양적 표현을 그림으로 그려 동양화의 기본을 더욱 알기 쉽게 나타냈다.
제1장 한국화의 이론 1. 동양화란 무엇인가? 2. 동양화의 역사 1)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4) 근대·현대 3. 한국화의 본질 4. 한국화의 분류 5. 한국화 육법(六法) 6. 수묵화의 종류 7. 동양 미학에서 공간의 의미 8. 문방사우의 유래 9. 동양화 기법 1) 붓 쓰는 방법(용필·用筆) 2) 먹을 개는 방법(조묵법·調墨法) 3) 먹색의 여러 가지(묵색법·墨色法) 4) 먹 쓰는 방법(용묵법·用墨法) 5) 그리는 방법(묘화방법·描畵方法) 6) 색칠하기(설색법·設色法) 10. 민화란 11. 사군자 12. 문인화 13. 산수화란 14. 한국화의 기법 15. 한국화의 원근법
제2장 한국화 그리는 도구 및 터치법 1. 붓의 종류 2. 붓 잡는법 3. 붓으로 선과 모형 표현 4. 붓의 사용 방향 5. 붓의 세기와 먹물 양에 따른 번짐 표현 6. 먹의 번짐 및 흡수 7. 먹물의 속성 8. 붓 씻고 준비 9. 먹의 농도에 따른 농도 10. 문방사우의 위치(그리기 준비 형태) 11. 붓 필의 벌어진 위치에 따른 표현 12. 바탕붓의 위치에 따른 먹물 흡착과 농도 표현 13. 한지 위에서의 먹 흡착 14. 붓의 위치에 따른 연잎 표현 15. 붓 터치와 번짐을 이용한 새 표현 16. 각종 그리기 표현
제3장 한국화 그리기 실습 1. 나뭇잎 표현 2. 나무 표현 3. 꽃 표현 4. 대나무 그리기 및 그 외 5. 매화 그리기 6. 난 그리기 7. 대나무 잎 그리기 8. 소나무 그리기 9. 과일 그리기 10. 나무 그리기 11. 산 그리기(바위) 12. 바위 그리기 13. 산의 풍경 14. 갈대 그리기 15. 과실과 동물 기초 표현 16. 여러 종류의 꽃 그리기
저자 프로필
김환기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 김환기 탄생 100주년 기념 : 1913. 3. 26~1974. 7. 252013 / 이충렬 지음 / 유리창
김환기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 김환기 탄생 100주년 기념 : 1913. 3. 26~1974. 7. 252013 / 이충렬 지음 / 유리창
단원 풍속도첩2005 / 박지원...[등]글 ; 김홍도 그림 ; 국립중앙박물관 사진 ; 안대회 옮김 ; 진준현 해설 / 민음사
디지털 프롬나드2018 / 지은이: 김남시 , 김지훈, 여경환, 이현진, 데이비드 조슬릿, 에드워드 A. 샹컨, 유시 파리카 / 서울시립미술관(SeMA)
이것이 한국화다 : 일랑의 현대진경2001 / 류병학 지음 / 아트북스
평양미술 조선화 너는 누구냐2018 / 지은이: 문범강 / 서울셀렉션
90년대 한국 미술과 포스트모더니즘 : 동시대 미술의 기원을 찾아서2015 / 문혜진 지음 / 현실문화연구
한국화 기초 그리기2018 / 저: 민경희 / 유한문화사
조선의 3원3재 이야기2011 / 박상하 지음 / 일송북
조선의 3원3재 이야기2011 / 박상하 지음 / 일송북
보라색 언덕 너머2021 / 지음: 박영균 / Hexagon(헥사곤)
한국 채색화 기법2002 / 박완용 지음 / 재원
(조선시대 평안도 함경도) 실경산수화2014 / 박정애 지음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조선시대 평안도 함경도) 실경산수화2014 / 박정애 지음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조선시대 사가기록화, 옛 그림에 담긴 조선양반가의 특별한 순간들 2022 / 지음: 박정혜 / 혜화1117
가만히 혼자 웃고 싶은 오후 : 장석주 산문집2017 / 지은이: 장석주 / 달
북유럽 그림이 건네는 말 : 누가 뭐라든 나답게, 내 속도로 살고 싶은 사람들에게2019 / 지음: 최혜진 / 은행나무
주디스 커2020 / 지음: 조안나 캐리, 옮김: 이순영 / 북극곰
모네, 일상을 기적으로 : 순간을 그린 화가, 모네의 치열했던 삶과 예술 이야기2019 / 지음: 라영환 / 피톤치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