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체 미학이란 무엇일까? 우리는 왜 미학을 공부하려 할까? 이 책은 그 욕구의 실체가 무엇인지 밝히고, 서양 미학사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 거장들의 미학 이론을 비판적으로 성찰하여, 독자로 하여금 인간다운 삶을 위한 미학에 다가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들어가는 말 미학의 열정, 감성적 인간학
제1부 감성적 인간학을 향하여 1 ─ 미학을 향한 열정 2 ─ 인간다운 삶을 위한 미적 체험과 예술 3 ─ 감정의 인간학, 미학을 위한 현상학적 방법 4 ─ 미학적 사유의 두 원형 : 이상적 형상과 감동적 설득
제2부 서양 미학사의 거장들 고대와 중세 시기 1 ─ 플라톤 : 시와 예술에 관한 성찰의 시조 2 ─ 아리스토텔레스 : 시적 서사에 관한 최초의 예술철학 3 ─ 플로티노스 : 빛과 형상의 감각적 힘의 긍정 4 ─ 중세 미학 개괄 : 빛, 비례, 내면성을 통한 신성의 계시 르네상스와 근대 초기 5 ─ 알베르티 : 르네상스의 실천적 기예가의 초상 6 ─ 섀프츠베리 : 내적 창조성을 통한 윤리적 미학 근대 미학의 시기 7 ─ 바움가르텐 : 시적 진실을 위한 미학의 주창자 8 ─ 레싱 : 예술적 감동을 정당화하는 유럽적 지성 9 ─ 하만 : 살아 있는 감각과 역사를 위한 신학적 미학 10 ─ 헤르더 : 감각주의적인 인간학과 역사적 형성의 미학 11 ─ 칸트 : 시민 문화의 통합을 위한 심미적 판단력의 정초 12 ─ 실러 : 전인적 인간의 실현을 향한 실천적 미학 13 ─ 헤겔 : 역사적 예술철학을 통한 작품미학 현대 미학의 시기 14 ─ 피들러 : 예술가의 작업에 대한 명증한 변호 15 ─ 니체 : 삶의 창조성을 긍정하는 생철학적 미학 16 ─ 하이데거 : 기술적 사유를 극복하는 예술적 진리 17 ─ 벤야민 : 인간학적 유물론의 미학 18 ─ 아도르노 : 개별자의 에토스를 옹호하는 예술철학 19 ─ 메를로-퐁티 : 몸과 세계의 공생적 소통 20 ─ 리오타르 : 포스트모던 시대의 숭고의 미학
읽을거리 찾아보기
미술관에서는 언제나 맨얼굴이 된다: 새하얀 밤을 견디게 해준 내 인생의 그림, 화가 그리고 예술에 관하여2020 / 이세라 지음 / 나무의철학
미술관에 간 개냥이2021 / 지음: 이영춘 / 휴먼컬처아리랑
그림은 사랑이다 : 조근조근 나누는 삶과 미술이야기2014 / 장소현 지음 / 悅話堂
마흔, 감성의 눈을 떠라 : 서울대 최종학 교수와 함께 떠나는 문화기행2015 / 최종학 지음 / 소울메이트(원앤원콘텐츠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