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기 작품을 선정하여 남북한이 공유할 수 있는 보편성에 대해 집중탐구한 책. 한국 근대문학사에 이어 남북한 문학사의 연속성 확인에 몰두해있던 저자는 '재남출신 월북 작가의 건국 이데올로기 연구'와 '냉전의 도래와 식민지 파시즘에 대한 기억'이라는 주제로 다년간 연구하였으며, 이를 책으로 엮었다.
서문
제1부 해방의 도래와 문학의 초상 제1장 해방 이후 안회남 소설에 나타난 농민 1. 서론 2. 해방공간의 민족 담론과 안회남의 위치 3. 해방 이후 ‘농민’을 바라보는 시선의 추이 4. 결론 제2장 해방 이후 박태원 작품에 나타난 영웅 1. 서론 2. 해방 이후 박태원 작품에 나타난 민족 영웅의 의미 3. 해방 이후 박태원 작품에서 건국이데올로기의 표상으로서 영웅의 의의 4. 결론 제3장 박태원의 자화상 소설과 가족주의 1. 서론 2. 가족주의의 성격과 식민지시대 가부장제의 강화 3. 해방 전과 후 소설에 나타난 가족주의의 추이 4. 자화상 소설에 나타난 가장권(家長權)의 성격 5. 결론
제2부 해방 직후 민족의 자각과 전재민의 귀환 제1장 해방 직후 염상섭 소설에서 민족에 대한 자각 1. 서론 2. 1946~1947년-감정 노출과 민족주의 가동 3. 1948년 전후(前後)-분단현실에 대한 자각과 민족의식 고조 4. 결론 제2장 해방 직후 황순원 소설에 나타난 귀환 전재민 1. 서론 2. 해방공간과 전재민 의식 3. 탈향에서 ‘귀환’의 서사 4. 귀환에서 ‘정착’의 서사 5. 결론 제3장 해방공간 귀환 전재민의 두려운 낯섦 1. 서론 2. 남북한의 완전한 통일과 자유민주주의체제 3. 해방 이후 전재민의 여로와 오해된 민주주의 4. 경계인으로서 전재민-비국민에 대한 환기와 정서 공동체의 가능성 5. 결론
제3부 태평양전쟁과 미완의 해방 제1장 태평양전쟁 직후 한일 소설에서 전쟁에 대한 기억 1. 서론 2. 종전(終戰)을 맞이하는 시각의 차이, 환희와 절제 3. 박노갑의 「歡」에 나타난 ‘비국민’의 의의 4. 우메자키 하루오의 「櫻桃」에 나타난 ‘보충병’의 의의 5. 결론 제2장 태평양전쟁 직후 한일 소설에 나타난 패전 일본 여성에 대한 시선 1. 서론 2. 패전 직후 조선에 잔류한 일본 여성을 바라보는 시각 3. 패전 직후 일본에서 여성의 자기 주도성 4. 결론 제3장 태평양전쟁 직후 한일 지식인의 식민지 조선에 대한 기억 1. 서론 2. 기억의 사후성(事後性)과 주체의 욕망 3. 해방 직후 조선 지식인의 참회와 죄의식 투사 4. 패전 직후 일본 지식인의 자기합리화와 모험 형식 5. 결론
참고문헌
한국전쟁과 종군작가2002 / 신영덕 저 / 국학자료원
여백과 겸손2003 / 신재기 지음 / 월인
미완의 시대와 문학2007 / 신철하 저 / 실천문학
한국 근대문학의 이상과 현실2001 / 신철하 지음 / 한양대학교출판부
이야기된 역사 : 남북한 민족 이야기가 그려낸 역사상 비판2005 / 신형기 지음 / 삼인
여성, 문학을 가로지르다2005 / 심진경 지음 / 문학과지성사
(근대문학을 향한 열망,)이태준2009 / 안미영 지음 / 소명출판
해방, 비국민의 미완의 서사2017 / 지음: 안미영 / 소명출판
전망의 발견2003 / 양진오 지음 / 실천문학
질주와 산책2003 / 엄경희 저 / 새움
문학과 시대현실 : 염무웅 평론집2010 / 염무웅 지음 / 창비
문학과 시대현실 : 염무웅 평론집2010 / 염무웅 지음 / 창비
세계문학공간의 조이스와 한국문학2013 / 오길영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세계문학공간의 조이스와 한국문학2013 / 오길영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한국문학의 동아시아적 지평 = East Asian prospect of Korean literature2017 / 지음: 오무라 마스오 ; 옮김: 곽형덕 / 소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