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식용하는 식물은 잎, 줄기, 뿌리 등 거의 모두 김치 재료가 된다. 흔히 먹는 산나물을 비롯해 사찰에서 소금에 절이지 않고 끓는 물에 데쳐 즉시 먹을 수 있도록 배려한 익선김치까지 포함하면 나물로 담글 수 있는 김치의 범위는 훨씬 더 넓어진다.
목차
지은이의 말
첫 번째. 나물이란 무엇인가
1. 우리의 나물 문화
2. 왜 산나물을 먹어야 하는가
3. 나물 채취 시기
4. 나무 이용법
5. 산나물로 담그는 김치
두 번째. 산나물 김치 담그기
<봄>
개망초 김치
개미취 김치
고수 물김치
곤드레 김치
곰취 김치
구와취 샐러드
는쟁이냉이 겉절이
단풍취 들깨 겉절이
닭의장풀 샐러드
당분취 김치
돌나물 물김치
돌나물 생채
돌미나리 김치
두릅 김치
뚱딴지 깍두기
마타리순 겉절이
만삼 해초 겉절이
머위잎 배추말이 물김치
머윗대 김치
묏미나리 물김치
민들레 겉절이
방풍나물 김치
비비추 김치
뽕잎 김치
산마늘 김치
산초나무순 김치
쇠무릎 무말랭이 김치
신선초 김치
쑥부쟁이 김치
씀바귀 겉절이
어성초 모듬꽃 튀김샐러드
어수리 물김치
예덕나뭇잎 김치
오갈피순 겉절이
음나무순 겉절이
음나무순 물김치
전호 겉절이
제비꽃잎 샐러드
죽순깍두기
질경이 겉절이
참나물 샐러드
참당귀 겉절이
참죽나물 된장 샐러드
참취 겉절이
칡순 김치
<가을>
고구마순 김치
고들빼기 김치
고춧잎 김치
더덕 밤채 소박이
더덕 맨드라미 물김치
무청 북어채 김치
바위솔 겉절이
야콘 생채
참마 연어 깍두기
토란 굴 깍두기
<겨울에서 봄 사이>
냉이 김치
달래 김치
도라지 생채
우엉채 김치
잔대 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