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자서
제1장 서론
1. 서언
2. 맹자학 연구의 회고 Ⅰ: 철학 또는 관념사적 방면
3. 맹자학 연구의 회고 Ⅱ: 역사ㆍ사상사적 방면
4. 맹자학 해석사 연구과제의 전망
제2장 맹자학 해석사에서 일반 방법론의 문제
1. 서언
2. 경전 해석자의 역사성과 그 문제
3. 문제의식의 자주성과 그 성질
4. 주석의 순환성: 경전해석과 해석자
5. 결론
제3장 순자의 맹자 비판: ‘사맹오행설’의 새로운 이해
1. 문제의 소재
2. 사맹오행설 가운데 ‘심’과 그 특질
3. 사맹오행설 가운데 ‘도’의 내재화
4. 사맹오행설과 중국 고대의 연계적 우주관: 안왕구조설의 새로운 해석
5. 결론
제4장 송대 유학자들의 맹자 정치사상에 대한 쟁변과 그 함의: 맹자가 주 왕실을 대하는 태도를 중심으로
1. 서언
2. 송대 유학자들이 맹자를 쟁론한 계기
3. 왕패지변: 이상과 현실의 대립
4. 군신관계: 상대성과 절대성의 분변
5. 송대 유학자들의 존공과 도의 해석: 그 전복성
6. 결론
제5장 주자의 『맹자』 ‘지언‧양기’에 대한 해석과 그 반향
1. 서론
2. ‘지언‧양기’의 함의와 맹자 해석에 내재된 문제
3. ‘궁리‧지언’에서 양기까지: 주자의 맹자 해석
4. 주자의 맹자 지언양기설 해석의 반향
5. 결론
제6장 왕양명 사상과 맹자학
1. 서언
2. 왕양명 사상과 맹자학
3. 왕양명 맹자 해석학의 특질
4. 왕양명 맹자 해석학의 ‘언후지의’
5. 결론
제7장 황종희 맹자 심학에 대한 발휘
1. 서론
2. 맹자 심학의 특징과 그 함의
3. 황종희 맹자 심학 해석의 기본입장: 백서 『오행편』과의 대비를 겸해 논함
4. 황종희의 주자학 비판: 맹자해석학을 중심으로
5. 결론
제8장 대진의 맹자학 해석과 그 함의
1. 서언
2. 대진 맹자학의 이론기초와 그 내재적 함의
3. 대진 맹자학의 호교학적 성질
4. 대진 맹자학의 방법론
5. 결론
제9장 강유위의 중서 사상에 대한 융합: 『맹자미』를 중심으로
1. 서언
2. 『맹자미』의 저술 배경과 그 기본입장
3. 민주, 자유와 평등: 『맹자미』에서 중서사상의 융합‧1
4. 사회진화와 경제발전: 『맹자미』에서 중서사상의 융합‧2
5. 『맹자미』의 유학사상사에서의 역사적 의의
6. 정치학으로서의 해석학: 강유위 맹자 해석의 해석학적 함의
7. 결론
제10장 맹자학에 대한 당대 유학의 해석: 당군의, 서복관, 모종삼을 중심으로
1. 서언
2. 당군의, 모종삼, 서복관 세 유학가의 사상과 학문: 공통점과 차이점
3. 맹자 심성설에 대한 새로운 해석: 심학전통의 현대적 해석
4. 맹자 정치학에 대한 재독: 인민 주체성의 건립
5. 결론
제11장 결론
1. 서언
2. 맹자, 『맹자』 및 그 해석자 사이의 변증
3. 중국 주석학의 특질: 맹자학 해석사를 중심으로
4. 결론
부록 맹자학 주석사 문헌 선편 주석
참고문헌
감사의 말
주
역자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