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다채로운 언론과 사회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정당내각의 성립으로도 결실한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시대. 히비야 방화사건에서부터 다이쇼정변, 쌀소동, 보통선거의 실시, 그리고 만주사변 전후에 이르는 25년의 발자취를 사회를 주인공으로 해서 그린다.
목차
머리말─제국과 데모크라시의 사이
제1장 민본주의와 도시 민중
1. 히비야 방화사건과 잡업층
2. 단나슈의 주민운동
3. 제1차 호헌운동과 다이쇼정변
4. 민본주의의 주장
5. ‘신여성’의 등장
제2장 제1차 세계대전과 사회의 변용
1. 한국병합
2. 제1차 세계대전 개전
3. 도시 사회와 농촌 사회
4. 시베리아 출병의 전말
제3장 쌀소동ㆍ정당정치ㆍ개조의 운동
1. 1918년 여름의 쌀소동
2. 정당내각의 탄생
3. ‘개조’의 여러 조류
4. 무산운동과 국수운동
5. 반차별의식의 태동
제4장 식민지의 광경
1. 식민지에 대한 시선
2. 3ㆍ1운동과 5ㆍ4운동
3. 식민지통치론의 사정(射程)
4. 워싱턴체제
제5장 모더니즘의 사회공간
1. 관동대지진
2. ‘주부’와 ‘직업부인’
3. ‘상민(常民)’이란 누구인가
4. 도시공간의 문화 경험
5. 보통선거법과 치안유지법
제6장 공황 시기의 기성정당과 무산세력
1. 역사의 균열
2. 기성정당과 무산정당
3. 긴축ㆍ통수권간섭ㆍ공황
4. 공황 시기의 사회운동
맺음말 ─‘만주사변’ 전후
저자 후기
역자 후기
연표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