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서문
제1장 ‘메이지 일본’을 찬양하는 ‘상식’을 의심한다
1. 들어가며
2. 한도 가즈토시(半藤一利)의 『쇼와사』를 읽다
1) ‘이 얼마나 바보 같은 전쟁’을 할 것인가
2) “쇼와사의 근저에는 ‘붉은 석양의 만주’가 있었다”하지만
3) ‘메이지 일본’을 어떻게 보고 있는가
3. 일본 정부는 일본 근대사를 어떻게 해석해 왔는가
1) 전쟁 전, 외부관료들의 일본관: 일본 외교의 과오
2) 전직 대신들과 대사들은 어떤 시각을 가지고 있었는가
3) 오구라 카즈오(小倉和夫)의 논평
4. ‘일본의 상식’을 만든 주장
1) 에구치 보쿠로·시바 료타로 대담 - 「일본과 일본인」
2) ‘일본 역사 중 비연속적 시대’라는 견해
3) ‘대동아전쟁 찬미자’도 전후에는…
5. 지금도 반복되는 ‘상식’
1) 일본의 국제법 학계는
2) 반복되는 ‘상식’이 더욱 널리 퍼지다
3) ‘거짓말’을 반복하는 것이 될 수 있다
4) 현대의 사상가와의 발언으로부터
제2장 ‘메이지 영광론’ 에 가려진 역사의 진실
1. 들어가며
2. 일본은 메이지 초기부터 조선에 대해 무슨 짓을 했는가
1) 『쇼와사』에서는 극도로 존재감 없는 조선
2) 국정교과서 『심상소학 국사』에는 이렇게 씌어 있었다
3) 조선은 독자적인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4) 지금도 바뀌지 않은 역사교과서 기술
5) 이에나가(家永) 교과서재판에서 부정당한 조선인민의 항일투쟁
3. 조선에 대한 식민지 지배와 만주사변과의 관련이 보이지 않는다
1) 만주사변은 돌연 비연속적으로 일어났는가?
2) 조선 지배와 ‘만몽(滿蒙)’을 하나로 파악했던 참모들
3) ‘문화정치’ 아래 조선은 어떻게 되었는가
4) 「들판에 아사자 있어」-조선인의 이산과 고향 상실
5) ‘간도(두만강 맞은편 중국령)를 조선에 편입시키려 했던’ 일본군의 획책
6) 만주사변은 조선 지배의 모순을 해결할 수 없었다
4. 2차 대전 후 일본 지식인의 책임
1) 프랑스문학자 와타나베 가즈오(渡辺一夫)의 지적
2) 『세카이』(世界)지에 비친 조선문제-와다 하루키(和田 春樹)의 문제제기
3) 스즈키 다케오(鈴木武雄)의 논문「조선통치에 대한 반성」
4) 조선문제로부터 눈을 돌린 세카이 4년간의 공백
5. 니토베 이나조와 오카쿠라 텐신의 조선관
1) 다나카 신이치(時田愼一)의 문제제기
2) 야나이하라 타다오가 전후에 삭제한 니토베 이나조의 연설
3) (걸출한 국제인) 니토베 이나조가 본 「고사국조선(枯死國朝鮮)」
4) 세계를 향해 영어로 발신한 일본 지식인들
5) 오카쿠라 텐신의 『일본의 각성』에 비친 조선
6) 미국 대통령에게 헌정된 니토베의 『무사도』
7) 영일동맹 - 영국과의 밀월
8) 태프트가쓰라 협정 - 미국과의 밀월
9) 지식인부터 서민까지 마음속에 박힌 조선관
제3장 역사 위조, 세 가지 사례를 검증한다
1. 들어가며
2. 강화도 사건은 왜 일어났는가
1) 일본 측의 ‘정설(定說)’
2) 음료수를 찾고 있을 때 총격을 당했는가
3) 운요함, 나카사키 귀향 직후 보고서 - 스즈키 준(鈴木 淳) 의 사료 소개
4) ‘음료수를 찾고 있었다’라고 씌어 있지 않았다
5) 프랑스, 미국 함대가 침공했던 때와 똑같은 장소로
6) 프랑스와 미국이 만든 해도를 가지고 침입
7) 전투는 3일에 걸쳐 벌어졌다
8) 강화도 사건의 전말은 왜 위조되었을까
9) 운요함장 이노우에 요시키는 ‘조선영유’를 주장, 출병을 기다리고 있었다
10) 근대 일본의 역사 위조는 조선침략 제1보 때부터
3. 청일전쟁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1) 조선 왕궁 점령으로부터 시작된 청일전쟁
2) 참모본부의 전사 위조
3) 누가, 언제, 무엇을, 왜 위조했을까 - 이가라시 켄이치로의 사료 소개
4) 조선 왕궁 점령에 관한 허위 보고 제1호는 오토리공사의 전보
5) 개전 구실 때문에 고심한 일본 정부
6) 왕궁 점령 계획의 주모자는 무츠 외상이었다
7) 조선 왕궁 점령-공표할 수 없었던 사건의 진상
8) 대원군 추대-기타가와 요시자부로(非川吉三郎)의 회상
9) 조선 정부의 입을 틀어막다
10) '무츠 외교‘를 미화해서는 안 된다
4. 일본 정부와 군부가 감추기에 급급한 동학농민군의 항일 투쟁
1) “경성의 20만을 아사(餓死)또는 항복시키겠다”고 호언장담했던 일본
2) 군용전선 가설을 가로막는 조선 민중들
3) 동학농민군 지도자 전봉준이 말하는 재봉기 이유
4) 서남 쪽으로 내몰아 살육을 도모했던 일본 정부와 일본군
5. 더욱 조직적이며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전사 위조
1) 「일러전사편찬강령」
2) 기밀사항이 삭제된 공간전사
3) 서술해서는 안되는 15개조
4) 일본의 역사 의식의 구조적 문제
제4장 한국에서 보는 과거에 대한 반문과 역사인식의 심화
1. 들어가며
2. 한국·동학농민군의 전적지를 방문하는 여행
1) 전라남도 진도까지 가다
2) 홋카이도대학에서 발견된 진도 출신 동학농민군 지도자 유골
3) ‘남민’의 명예회복
3. 과거를 되물어, 미래를 개척하고자 하는 한국인들
1) 왜 과거의 역사를 되묻는가
2)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과거사에 대한 재검토
3) 왜 역사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했을까
4) 굴곡진 한국 근현대사에 답을 구하다
5) 한 역사가가 본 ‘광주민주화항쟁’
6) 민중운동의 원류를 찾아, 동학농민군의 발자취를 찾아가는 여행
7) 동학의 역사연구에서 ‘생명․평화운동’으로
8)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9) 기념비로 보는 한국의 역사인식의 변화
10) 농민군 속에는 부녀자도 참가하고 있었다
11) 새로운 역사인식 위에 세워진 기념관
4. 맺음말
보론
저자소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