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아버지의 길을 묻는 우리에게 그들이 들려주는 뜻 깊은 답변
01 유배지의 아버지 정약용 -“벼슬길에 오른 사람처럼 당당하라”
아내의 낡은 치마폭에 써 보낸 편지
인생의 봄날이 열리는 듯하였으나
하루아침에 폐족의 위기에 직면하여
“저쪽에서 돌을 던지면 옥돌로 보답하라”
“절대 서울을 떠나지 마라”
아들에게 권한 공부법
오랜 세월 떨어져 지내는 아버지 마음
유배라는 형벌은 하늘이 주신 기회
흙수저 아들의 재기
02 한 시대의 아버지 이황 -잔소리 대신 편지로 아들을 일깨우다
부부관계의 책임은 남편에게 있다
살림살이와 공부 어느 것도 소홀히 하지 말 것
종이든 양반이든 귀하지 않은 목숨이 없으니
애써 가르쳐도 자식이 잘못을 저질렀을 때
부귀영화란 뜬구름 같은 것
03 세상에 저항한 가난한 아버지 박세당 -“독서와 글씨 연습으로 근심을 잊어라”
예법보다 자식의 건강이 먼저
아무리 가난해도 탐심에 휘둘릴 수는 없는 일
아들이 마음을 낼 때까지 강요하지 않고 기다렸다가
대학자가 아들에게 가르친 글쓰기 요령
금쪽같은 둘째 아들을 잃고
뜻을 굽히지 않는 학자의 용기
04 불법 이혼남 김숙자 -넘어진 자리에서 다시 일어서다
이혼, 인생의 굴레가 되다
운이 없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경전의 가르침이 곧 일상생활
하찮은 직책이라도 정성을 다하라
바보 같고, 존경스러운 어른
마침내 사림파의 기틀을 세우다
05 알뜰한 살림꾼 이익 -자신에게 엄격하고 남에게 너그러웠던
단정하고 꼿꼿한 풍모에 공경하는 마음이 저절로 일어
아버지와 형을 잃고
가난에서 벗어나고자 애쓴 남다른 선비
절약하지 않으면 방도가 없다
콩죽 한 그릇으로도 풍족해
세상을 구하는 것이 진정한 효도
꼭 핏줄이 통해야만 아버지일까
06 사화도 꺾지 못한 기개 유계린 -위기를 기회로 바꿔준 열 가지 교훈
해남 성내에 숨어 산 사연
개인적 욕심을 차단하려면
거가십훈의 네 가지 요체
늘 마음을 공정하게 하라
아들의 무한한 존경을 받은 아버지
사림파의 찬란한 부활
07 스승이자 친구이자 아버지 김장생 -부자간에 서로 공경하고 예를 다하다
《소학》에 나오는 내용 그대로 산 아버지와 아들
인생의 파도, 시대의 격랑에 맞서
뜻이 높아도 아무 일도 할 수 없는 처지
이름조차 직접 부르기 어려운 성덕군자
예학은 조선을 살릴 실천 학문
예학의 본질에서 벗어난 예송논쟁
이 무례한 세상에서 예를 생각하니
08 천재 예술가 김정희 -위로와 사랑이 가득 담긴 편지를 쓰고 또 쓰다
서자 아들에 대한 애틋한 마음
서예의 네 가지 비법
글 읽기를 중지하지 마라
아내에게 투정도 부리고 세심하게 챙기기도 하고
“좋은 반찬은 두부 오이 생강나물이오”
09 거룩한 영웅 이순신 -유달리 깊고 큰 사랑
최고의 경영자였던 변방의 장수
탁월한 문장가이자 예리한 지식인
영웅의 사생활
가족들이 그립고 외롭구나
통곡하고 또 통곡했다
10 딸바보 김인후 -한없이 따뜻하고 자상했던 큰 선비
의리를 위해 벼슬도 마다하고
자식 잃은 슬픔 어이 견디리
시가에 홀로 남을 딸 걱정에
사위 웃음소리에 번뇌와 병이 한꺼번에 물러가네
선비가 조심해야 할 세 가지
11 청백리 이항복 -의를 위해 죽음으로 맞서다
재치와 기개가 넘치는 소년
고지식한 장인, 기민한 사위
‘오성과 한음’ 이야기에 담긴 민중의 꿈
노련한 선배 같은 아버지
손자 교육에 열성인 ‘꼰대’ 할아버지
어찌 가족의 안위를 위해 뜻을 굽히랴
12 비극의 주인공 영조 -그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나
휘령전 앞에서 아들을 죽인 이유
누구의 책임인가
아버지의 기대와 실망
아버지 영조의 불안한 심리
맹자가 말하는 좋은 부자관계의 비결
사도제사의 정신병
엽기적인 사건의 원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