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의 최근 경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소셜 미디어의 발전, 그리고 그것이 지역 문화 상품 영역에 미친 영향인데, 왜냐하면 전 세계의 한류 팬들이 K팝, 디지털 게임, 영화 등을 즐기기 위해 소셜 미디어에 접속했기 때문이다.
목차
들어가며
제1편 문화 산업의 정치경제학 제1장 신한류의 부상 한류 2.0은 어떻게 규정되는가 책의 주요 내용 한국 대중문화의 혼종성 책의 구성 제2장 신한류 시대의 문화정치학 문화 산업 내 국가와 신자유주의 간 연결망 초국가적 문화 권력: 한류 1.0부터 한류2.0까지 문화 정책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예술에서 문화 산업으로 21세기 초 신자유주의 문화 정책 신한류 시대 창의 콘텐츠 산업을 향하여 결론
제2편 초국가적 대중문화 제3장 초국가적 텔레비전 프로그램 텔레비전 포맷의 초국가적 흐름 한류와 텔레비전 드라마 서구에서 노 포맷, 국경을 넘다 지역 TV포맷의 글로벌라이제이션 리얼리티쇼의 초국가성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한류 2.0: 초국가성과 한국성 결론 제4장 한국 영화와 문화적 글로벌라이제이션 한류 내 한국 영화 혼종적 한국 영화(1989~2012) 한국 영화의 혼종화: 장르 혼종적 한국 영화: 주제 신한류 시대 한국 영화의 혼종성: 영화 텍스트 혼종적 한국 영화에 대한 비판적 해석 결론 제5장 한국산 혼종 애니메이션의 전 지구적 호소력 하청 업체에서 창작 애니메이션 산업까지 지역 애니메이션 산업의 사회경제적 특성 뽀로로의 미디어 텍스트적 특성 글로벌 관객을 위한 지역의 혼종 애니메이션 지역 애니메이션: 대중문화의 정치화에 대한 논쟁 결론 제6장 K팝의 글로벌라이제이션과 비판적 담론 전前 한류 시기 한국의 대중음악 초기 한류 시대의 K팝 신한류를 선도하는 K팝 K팝의 혼종성 K팝의 언어적 혼종화 글로벌 시대 혼종적 K팝에 대한 이해 결론
제3편 디지털 한류 제7장 디지털 한류 2.0: 디지털 게임의 초국가화 글로벌 게임 시장의 문화 역류 글로벌 시장의 한국산 디지털 게임 변화하는 글로컬라이제이션 전략과 디지털 한류 글로벌과 지역 간 권력관계 결론 제8장 소셜 미디어 시대 한국 스마트폰의 글로벌라이제이션 기술의 혼종성 이해하기 디지털 한류로서의 스마트폰 혁명 글로벌 시장의 스마트폰 한류 스마트폰 세계의 혼종성: 지배적인 외국산 운영체제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