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현재 급변하는 대한민국 문화지도 속에서 이 책은 생산적인 주체로서 대중을 '게릴라'와 '놀이족'으로 규정하면서 다섯 가지 문화코드(유목민/참여/몸 /섹슈얼리티/역사적 상상력)를 통해 21세기 대한민국 문화의 흐름과 지형을 파악하는데 도와준다. 이를 통해 개인과 기업, 국가 등은 대중들의 문화적인 관심사, 형태 등을 파악하고 전망하여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현 시대를 읽고 문화를 활용할 수 있다.
목차
프롤로그 우리 사회의 문화코드와 시대정신
1 유목민 코드
01 가상공간과 사이버 게릴라 공동체
유랑하는 주체들의 집합
02 인터넷 게릴라와 놀이족
온라인 뉴스 게릴라
촉각과 즉시성
'나만의 집' 만들기
놀이와 참여
댓글 : 논쟁과 놀이
03 인터넷 공간의 젠더 정치학
여성 호명하기
온정주의 성차별
2 참여 코드
01 참여세대의 등장
전후 세대 문화의 형성
참여세대의 성격
참여세대의 의식과 행위
02 2002년 게릴라 전사들
붉은악마
월드컵의 사회문화적 의미
노무현과 노사모
03 촛불의 게릴라전
촛불집회의 전개
광우병 촛불의 기동전
04 의례를 통한 저항
3 몸 코드
01 표류하는 몸
02 대상으로서의 몸, 욕망으로서의 몸
시선애착증
나르시시즘
03 소녀와 짐승
4 섹슈얼리티 코드
01 바라봄의 대상으로서 섹슈얼리티의 진화
메트로섹슈얼
위버섹슈얼과 콘트라섹슈얼
초식남의 등장
02 위장된 동성애의 코드 변환
감춤 속의 드러냄, 드러냄 속의 감춤
시각적 즐거움으로서 남성 동성애
03 팬픽: 소녀들의 환상 놀이
인형 놀이
가면 놀이
5 역사적 상상력 코드
01 상상의 역사
'거시기'로서의 역사
상상적 역사서술
스펙터클의 역사
02 멜로의 역사
03 고구려 민족주의
민족주의의 소환
에필로그 게릴라 정신과 놀이 정신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좌파 문화권력 3인방 : 백낙청·리영희·조정래 비판2019 / 지음: 조우석 / 백년동안
다문화 박사의 '진짜' 다양성 이야기 : 다문화가 뭐예요? 2022 / 지음: 조형숙 / 산지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