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추천사 / 序文
一. 성씨(姓氏)
1. 우리나라 성씨(姓氏)의 발생과 시대별 변천
가. 삼국(三國) 및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
나. 고려시대(高麗時代)
다. 조선시대(朝鮮時代)
라.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2. 본(本)
가. 의의(意義)
나. 기원(起源)
3. 한국성씨(韓國姓氏)의 연원과 특성
가. 연원
나. 특성
다. 같은 성족(姓族)의 집성촌(集姓村) 형성
4. 한국성씨의 본관별 현황
二. 족보(族譜)
1. 족보(族譜)의 의의(意義)
2. 족보(族譜) 편찬의 목적
3. 족보(族譜)의 유래
4. 우리나라 최초(最初)의 족보(族譜)
5. 족보(族譜)의 종류와 명칭
6. 족보 구성(構成)의 체계
가. 서문(序文)과 발문(跋文)
나. 기(記) 또는 지(誌)
다. 범례(凡例)
라. 전체세계도(全体世系圖)
마. 인별계보표(人別系譜表)
7. 족보(族譜)의 변천(變遷)
가. 조선시대의 사회변화
나. 제책(製冊)의 변화(變化)
다. 수록자손(收錄子孫) 범위의 변화
라. 남녀 수록순서의 변화
마. 편제양식의 변화
8. 족보의 진정성(眞正性)
가. 시조(始祖) 또는 비조(鼻祖)에 대한 과시
나. 세계(世系)의 조작(造作)
다. 명문가(名文家)에 연접
라. 계보(系譜)를 알 수 없는 자의 족보 편입
9. 족보(族譜)에 등재된 본인(本人)의 계보(系譜)에 대한 검증
가. 이전의 족보(族譜)에 본인(本人) 선대(先代)의 누락
나. 직계 세별(世別) 차이가 50년이 넘는 경우
다. 나이가 많은데도 불구하고 족보상 서열이 아래로 등재된 경우
라. 별보(別譜) 또는 별파(別派)로 있다가 합본(合本)된 경우
마. 종원(宗員) 중에서 항렬(行列)이 특히 높은 경우
바. 족보(族譜)에 기재(記載)된 용어의 차별화
10. 족보(族譜)에서 나를 찾는 방법
11. 족보(族譜)의 사료(史料)로서의 가치(價値)와 과제
가. 족보(族譜)의 가치(價値)와 평가
나. 다른 나라의 족보 실태
다. 족보에 관련된 과제
12. 족보와 관련된 용어해설
가. 족보의 여러 가지 명칭
나. 씨족(氏族) 관련 명칭
다. 족보에 기록되는 용어
三. 양반(兩班)
1. 양반이란? (개념정립)
2. 양반신분의 획득
가. 양반신분의 시원(始原)과 고려시대 지배층의 성격
나. 조선시대 양반신분의 획득
3. 양반의 종류
4. 권세를 기반으로 한 양반
가. 벌족(閥族) 가문
나. 공신(功臣) 가문
다. 왕실(王室)의 종친(宗親)과 외척(外戚) 가문
라. 호당(湖堂) 입록 가문
마. 문과(文科) 급제 가문
5. 덕망을 기반으로 한 양반
가. 문묘배향(文廟配享) 가문
나. 대제학(大提學 : 文衡) 배출 가문
다. 시호(諡號)를 받은 가문(家門)
라. 청백리(淸白吏) 가문
마. 불천위(不遷位) 제례를 지내는 가문
바. 서원배향유현(書院配享儒賢) 가문
6. 양반신분의 유지
가. 사환(仕宦)을 위한 부단한 노력
나. 도학자(道學者)의 배출 및 학맥(學脈) 형성
다. 격(格)에 맞는 혼반(婚班) 유지
라. 유교문화에 따른 생활규범
7. 양반문화의 현주소
가. 산업자본주의의 등장
나. 정치적 변혁
다. 집성반촌의 붕괴
라. 새로운 사상의 유입과 교육, 생활환경의 변화
마. 현 주소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