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출신 국내 전문가 11명이 각자의 분야에서 경험한 다양한 쟁점과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이 나아갈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는 책.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포그래픽 등 일상의 변화를 주도하는 아젠다와 맞춤의료, 사회적경제 등 사회를 변화시키는 아젠다를 담고 있다.
목차
서문_ 지각 대변동의 시대, 큰 그림을 그려라
1부 진화형 어젠다의 탄생 교육 - 수업이 사라지고 있다 : 현장교육의 판을 뒤흔든 플립러닝 의학 - 이젠, 당신의 병이 보여요! : 빅데이터 시대의 맞춤 의료 IT - 모든 사물들을 연결하라 : 인터넷 혁명을 뛰어넘는 사물인터넷 혁명 인포그래픽 - 테이터는 콘텐츠다 : 디지털 시대의 데이터 시각화 경제 - 사회적 경제가 만드는 세상 :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 도시 - 공유 플랫폼으로 도시를 기획하다 : 도시와 플랫폼의 이상적인 만남 문화 - ‘만들어진 행복’을 걷어차라 : ‘인간 탐구’에 관한 과학적 사실들
2부 전통 어젠다의 반격 경제 - 자본주의 대논쟁 이후… 한국 자본주의 방향은? : 민주적 자본주의의 미래 교육 - 교육 불평등, 어떻게 출구를 찾을 것인가? : 미국의 교육 불평등 해소 법 언론 - 미디어,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 텍스트의 위기와 디지털 저널리즘 정책 - 위험사회와 그 적들 : 규제개혁의 방향성 정치 - 선거 없는 2015년… 정치를 감시하라 : 시민이 고민하고 행동하는 의정감시 국제사회 - 말랄라를 아시나요? : 포스트-2015의 진단과 전망
주석과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공동체 없는 공동체2020 / [외]지음: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 알렙
(사람이 존재하는 한 반드시 그어지는)슬픈 경계선2020 / 지음: 아포; 옮김: 김새봄 / 추수밭
(이어령의)가위바위보 文明論2015 / 이어령 지음 / 마로니에북스
한중일 언어를 통해 본 삼국의 사회와 문화 = Societies and cultures of Korea, China, and Japan reflected on their languages2018 / 엮은이: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김무식, 남길임, 송현주, 최준, 양수경, 조태린, 강병규, 김석영, 김태은, 박지영, 나카이 요코, 도라마루 마스미, 오오바 미와코, 마스다 마사노부, 윤영민, 이소노 히데하루, 우에나카 준, 오히라 사키, 다나카 마이, 하루구치 준이치, 윤지현 / 한국문화사
블랙 코리아 = Black Korea : 청년백수, 비혼, 출산거부 등 어둠의 늪에 빠진 대한민국 보고서2017 / 지음: 권기둥 / 길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