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역사철학의 기능성과 필요성 –칸트의 역사철학에 대한 Docekal의 해석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13
2. 역사철학 비판 14
3. 도체칼의 칸트 역사철학 재해석 17
4. 역사철학의 기능성과 불가피성: 비판적 고찰 25
2 이성적인 것은 현실적이고, 현실적인 것은 이성적인가? -헤겔의 역사철학-
1. 서론 33
2. 예비적 고찰: ‘wirklich’의 이중적 의미 34
3. 이성적인 것(das Vernünftige)이란? 36
4. das Wirkliche란? 38
5. 결론 43
3 딜타이(Wilhelm Dilthey)의 역사주의 –이해의 방법론적 원리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51
2. 역사주의의 방법론적 원리: 이해(Verstehen) 53
3. 이해의 과제: 감정이입 61
4. 맺음말 72
4 니체의 역사관
1. 머리말 79
2. 비역사적인 것과 역사적인 것 혹은 망각과 회상 82
3. 니체의 역사관 86
4. 학문적 역사의 해로움 94
5. 예술적 역사와 학문적 역사 105
5 마르크스의 역사철학 –엘스터의 재구성(개체론적 맑스주의)을 중심으로-
6 카시러의 역사철학
1. 들어가는 말 135
2. 카시러 역사철학의 형성배경과 그 특징 137
3. 카시러의 역사철학 144
4. 카시러 사상에서 역사철학의 문화철학의 관계 153
5. 카시러 역사철학의 현재적 의의 157
7 호르크하이머: 역사철학비판과 부정적 역사철학
1. 들어가면서 163
2. 역사철학에 관한 비판 164
3. 호르크하이머의 역사철학 175
4. 나오면서 184
8 자연 · 이성 · 역사 –아도르노의 역사철학 모티브-
1. 서론 191
2. 역사형이상학 비판 193
3. 아도르노의 역사철학의 형성과 전개 202
4. 결론에 대신하여: 지구화 시대의 역사철학과 아도르노 213
9 역사주의 이후의 역사주의를 위한 시론 –일상사(日常史)의 방법론과 해석학적 현상학-
1. 서론: “역사개념의 퇴락”과 일상사 219
2. 일상사의 인류학적 방법과 해석학적 현상학 222
3. 일상의 “반복과 전유”,그리고 역사의 진실 229
4. 결론: “두텁게 쓰기”와 이해의 로고스 237
10 세계시민주의와 세계시민권 –하버마스의 칸트 『영구평화론』 해석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47
2. 세계 시민주의의 출발점 249
3. 헌법 애국주의와 세계시민주의 254
4. 세계시민권: 정치적 세계질서와 세계시민권 258
5. 세계시민권: 국가적 구상과 민주주의적 구상 263
6. 세계정부 없는 세계 내 정책: 세계시민법 266
7. 맺음말: 세계시민권과 세계시민주의의 현대적 의의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