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들녘 인문교양 3권. 언제인가부터 청소년을 위한 철학책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그것들 역시 큰 발자취를 남긴 철학 사상을 알기 쉽게 해설하는 데 머물렀다고 판단했다. 이 책의 저자들은 모두 학교 현장에서 철학교사로서 아이들에게 철학의 길을 안내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여는 글- 철학하기, 무겁지만 가볍게
사랑과 실존- 알 수 없어요 제가 왜 이럴까요? 「건축학개론」_첫사랑을 15년 만에 다시 만나다 자기 감정을 인정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참을 수 없는 선택의 무거움 “나도 내 마음을 잘 모르겠어”라고 말할 때
일과 놀이- 왜 우리는 늘 바쁘지? 내 시간이 필요하다고! 『모모』_빼앗긴 시간을 돌려준 아이의 이야기 시간은 왜 늘 부족할까 나는 이제부터 ‘모모’의 친구 ‘나나’이다! 우리는 ‘진짜 놀이’를 잃어버렸다
선과 악- 착한데 싫어, 나쁜데 좋아. 어쩌지? ‘선’은 언제나 선이고, ‘악’은 언제나 악일까? 「다크 나이트」_선과 악, 배트맨과 조커의 숙명적 대결! 도대체 선과 악을 가르는 기준이 무엇일까? 선과 악, 그리고 나의 그림자 선악에 대한 판단은 절대적일 수 없다 논리만이 아니라 용기도 필요하다
삶과 죽음- 나는 지금 살아 있을까? 죽음은 공포다! 『트리갭의 샘물』_영원히 살면 행복할까? 삶은 죽음과 함께 있다 죽음을 기억하라! 죽음은 삶의 힌트다
가상과 현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매트릭스 아닐까? 지금 이 순간은 꿈일까, 현실일까? 「매트릭스」_현실 같은 꿈, 꿈같은 현실 지금 우리가 사는 세상이 가상현실 아닐까? 사이퍼는 바로 나였다 매트릭스를 벗어난 현실이 있을까?
남과 여- 우리는 서로를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 남자다움, 여성다움? 『이갈리아의 딸들』_남녀의 역할이 뒤바뀐 세상 남과 여, 다름을 인정하기 남녀가 평등한 사회는 가능할까? 사회적 기준 자체가 차별적이다!
행복과 불행- 행복하게 살고 싶은데 왜 자꾸만 불행한 일이 생길까? 왜 하필 ‘나’에게 ‘불행’이 찾아온 걸까? 「인생은 아름다워」_역경 속에서 행복 만들기 부조리한 세상에서 행복 찾기 스스로에게 묻다 지금은 나에게 근본적인 질문을 던질 시간!
철학쌤의 서랍 이미지 출처
BTS 예술혁명 : 방탄소년단과 들뢰즈가 만나다2018 / 글: 이지영 / 파레시아
의심의 철학 : 이진우 교수의 공대생을 위한 철학 강의2017 / 글: 이진우 ; 그림: 정원교 / 휴머니스트
지구의 철학 : 모면할 길 없는 기후위기 시대의 삶에 부침 2024 / 지음: 이진경 , 최유미 / 그린비
동굴 밖으로 나온 필로와 소피: 공자부터 롤스까지, 동화로 읽는 13가지 철학 이야기2023 / 글: 이진민 ; 그림: 김새별 / 지와사랑
가장 사적인 관계를 위한 다정한 철학책 2023 / 지음: 이충녕 / 클레이하우스
어떤 생각들은 나의 세계가 된다= Ein gedanke wird zu meiner welt2022 / 지음: 이충녕 / 위즈덤하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