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2개정판 서문
개정판 서문
초판 서문
제1부 경제지리학의 본질과 연구방법의 발달
제1장 경제지리학의 본질과 연구방법의 발달
1. 경제지리학의 정의
2. 경제지리학의 위치
3. 경제지리학의 분류
4. 경제지리학의 발달
5. 최근의 경제지리학의 접근방법
6. 한국 경제지리학의 발달과 접근방법의 체계화
7. 경제지리학의 연구대상과 과제
8. 등방성 공간과 단위지역 크기 및 공간 스케일 문제
제2부 경제활동의 주요 주체
제2장 자원의 지역적 분포
1. 자원의 개념
2. 자원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3. 에너지 자원
4. 식량자원
5. 삼림자원
6. 광물자원
7. 경제발전과 자원의 소비량 및 자원의 정치경제지리
제3장 자금·자본의 지역적 순환
1. 자금·자본의 순환과 지역적 집중
2. 자본 순환과 공간 불균등 발전
3. 민간 금융자금의 지역적 분포와 그 유동
4. 재정자금과 지역경제
5. 자본 수출의 중층성과 지역성
6. 한국의 해외 투자 및 외국의 투자
7. 국제 금융 중심의 배치
제4장 노동력의 공간구조와 이동
1. 노동력과 노동시장
2. 노동시장의 지역적 개방성과 폐쇄성
3. 발전양식과 노동편성
4. 여성 취업
5. 노동력의 국제적 이동
6. 한국의 국제 노동력 유입
7. 초국가적 노동력 이동
제5장 경제지리학에서의 국가
1. 자본주의에서 국가와 자본주의국가
2. 자본주의의 다양성
3. 국가 간 관계와 무역·투자협정
4. 국가의 실제로서의 영역성
5. 포용적 제도
제3부 산업의 입지와 공간체계
제6장 농업의 입지와 지역구조
1. 농업지리학의 본질과 접근방법
2. 고전적 농업 입지론
3. 농업입지의 행동이론 접근방법
4. 그 밖의 농업입지론
5. 동태적 농업입지
6. 도시 주변지역에서의 농업입지
7. 농업지역
8. 식료지리학
제7장 공업의 입지와 네트워크
1. 고전적 공업 입지론
2. 여러 입지인자 측면에서의 고찰
3. 행동이론에서의 접근방법
4. 기업조직과 공업입지
5. 다국적 기업의 입지와 세계 도시 형성
6. 신경제공간학파의 산업 집적론
7. 공간경제학
8. 공업지역
9. 도시지역의 공업
10. 재래공업
제8장 유통·서비스업의 입지와 공간체계
1. 도매업의 종류와 입지
2. 소매·서비스업의 입지
3. 소매지대이론과 상업지역의 내부구조
4. 소농사회에서의 정기시
5. 소비자 구매행동
6. 상권
7. 소매업의 국제화
8. 국제 분업론과 세계 시스템론
9. 유통의 공간 시스템
10. 상품사슬의 공간 네트워크
11. 서비스업의 성장이론과 시설의 최적입지
제9장 경제적 중추관리기능의 지역구조
1. 경제적 중추관리기능의 중요성
2. 경제적 중추관리기능의 지역구조 형성 이론
3. 기업 본사의 입지
4. 연구·개발기관의 입지
5. 창업보육센터 가설
제10장 교통·정보의 공간적 네트워크
1. 운임의 지리적 양상
2. 교통망의 구조와 발달
3. 중력모델과 교통
4. 정보의 공간 확산
5. 인터넷의 네트워크 공간
6. 정보화 사회와 사이버의 지리학
7. 정보화 사회와 공간변화
제11장 문화산업 공간의 형성
1. 지식기반경제와 유형화
2. 지식유동과 사회 네트워크론
3. 창조산업의 공간
4. 문화산업과 문화 콘텐츠산업
5. 문화경제지리학의 출현
6. 장소 마케팅
7. 문화산업과 도시집적 및 창조도시
제12장 환경문제와 입지론
1. 환경문제의 접근방법
2. 순환형 사회
3. 자연·생태계에서의 산업일지
4. 재활용 사업의 입지
5. 쓰레기 문제의 접근방법
6. 에코 사업에서 본 재활용 사업의 집적
제4부 경제지역과 지역개발
제13장 경제지역
1. 경제지역에 관한 여러 견해
2. 산업지역
3. 경제권
4. 경제지역
제14장 경제발전과 지역개발
1. 경제발전
2. 경제적 건전성
3. 지역의 사회복지 수준
4. 저개발 지역
5. 저개발 이론
6. 지역개발이론
7. 제3·4차 국토종합(개발)계획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