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학, 정신론, 인식론, 존재론, 정치철학, 우주론 등 플라톤 철학의 다양한 면모를 다루는 책이다. 2006년 대우학술총서로 출간되어 꾸준히 읽혀오다가 이번에 보급판으로 새로 나왔다. 플라톤의 주요 저작을 중심으로 그의 사상을 종합적으로 해설한다.
목차
머리말
서문 : 플라톤과 서양철학의 사유범주
제1부 플라톤의 생애와 철학의 개관 1장 플라톤의 시대와 그의 저술 1. 그의 시대와 생애 2. 저술 3. 저술의 특색-대화의 방법 4. 플라톤철학과 관련된 문제들 2장 동굴의 비유 1. 비유의 내용 2. 비유의 함축 3. 형상론 4. 상기설과 참여론
제2부 윤리적 삶에서 인신과 이익 3장 윤리적 실천에서 인식 1. 플라톤 윤리설의 두 주축 2. 윤리적 실천에서 쾌락과 인식 3. 쾌락주의의 이해 4. 지행합일론에 대한 이해 4장 정의의 이익 1. 관습적 정의와 자연적 정의 2. 쾌락주의의 검토 3. 좋은 삶과 기하학적 평형
제4부 형상의 존재론 8장 무엇이 존재하는가?-형상론 I 1. 문제 제기 2. 플라톤철학의 소여(所與)-대화의 사실 3. 형상들의 종류와 특성 4. 플라톤의 아포리아 9장 의미의 원자론과 언어의 가능성-형상론 II 1. 의미의 원자론 2. 형상들의 원자성과 상호간의 관계 3. 형상들의 자체성(自體性) 4. 형상의 본성(phusis)과 관계가능성 5. 현상계의 구제 10장 보편자 문제 1. 의미, 속성, 그리고 보편자 2. 신앙과 보편자 3. 경험 가능성 4. 경험적 지시의 모호성 5. 믿음의 인과적 힘과 그 실재성 6. 보편자와 내적 지시의 사밀성(私密性) 7. 언어적 규정성-실재론과 유명론을 넘어서
제5부 국가에서 정의와 이성 11장 정의의 내면성과 사회성-정의론 I 1. 들어가며 2. 정의에 대한 규정들 3. 정의 규정의 지형도 4. 정의의 내면성과 사회성 12장 정의와 인간존재론-정의론 II 1. 균제적 원리로서 정의 2. 국가 정의와 개인 정의 3. 정의의 존재론적 역할 13장 이성과 유토피아 1. 이상국론의 종류 2. 유토피아의 유형 3. 플라톤적 모델 4. 새로운 이상국을 위하여
제 6부 세계 구성의 원리 14장 우주론과 원인론 1. 우주론의 문제 2. 세계 구성론과 형이상학 3. 세계의 진정한 원인과 보조 원인 15장 지성과 우연적 필연 1. 세계의 두 원인-지성과 방황하는 원인 2. 플라톤의 원인론과 현대적 원인론의 비교 3. 우연적 필연 4. 이성의 설득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소피스트 단편 선집. 12023 / 엮어 옮김: 강철웅 / 아카넷
소피스트 단편 선집. 22023 / 엮어 옮김: 강철웅 / 아카넷
소크라테스, 민주주의를 캐묻다 : 우리 시대, 사상사로 읽는 원전 : 체제 탐구 2021 / 지음: 강유원 / 라티오 출판사
소크라테스적 성찰2019 / 지음: 엄정식 / 메이트북스
마흔에 읽는 소크라테스 : 인생의 굽잇길을 넘는 철학 수업 2024 / 지음: 임성훈 / 유노북스 :
소크라테스 씨, 나는 잘 살고 있는 걸까요?2020 / 지은이: 허유선 / 믹스커피
플라톤, 현실국가를 캐묻다: 우리 시대, 사상사로 읽는 원전: <국가> 탐구2023 / 지음: 강유원 / 라티오
플라톤 = Platon : 서양철학의 기원과 토대2013 / 남경희 지음 / 아카넷
영혼과 정치와 윤리와 좋은 삶: 플라톤의 『국가』에 대한 14편의 에세이2020 / 지음: 박연옥 / 북드라망
소크라테스의 변명, 진리를 위해 죽다2009 / 풀어씀: 안광복 / 사계절
플라톤 읽기: 기원전 427-347 철학이라는 건물의 현관2020 / 지음: 이강서 / 세창미디어
플라톤, 이게 나라다!: 《국가》를 통해 국가를 말하다2017 / 지음: 이성주; 그림: 신병근 / 생각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