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문학적 자유 vs 과학적 자유 : 의료현장에서 살펴본 과학과 인문학의 소통불가능한 구조에 대한 탐구
발행연도 - 2012 / 이승범 지음 / 우물이있는집
-
도서관
청라국제도서관
-
자료실
[청라국제]보존서고(일반)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CI0000010611
-
ISBN
9788989824572
-
형태
205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총류
>
-
카테고리분류
인문
>
인문학 일반
>
교양 인문학
책소개
철학하는 임상의사 이승범의 첫 번째 책. ‘통섭’이니 ‘소통’이니 ‘비빔밥’이니 ‘섞기’니 하는 말들이 유행이다. 모두들 섞으면 좋다, 소통하면 좋은 것 아닌가 하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과연 그럴까? 그것은 꼭 통합되어야만 하는걸까? 그리고 정말 우리 사회는 ‘통섭’이라는 것이 되고 있는 것일까? 의사 이승범은 주변을 둘러보며, 특히 임상현장에서 벌어지는 소통 불가능한 현장에서 이런 질문을 수없이 떠올렸다.
목차
머리말
들어가며
1장 현대의학과 인문학이 충돌하는 현장들
1. 통증에 대한 두 가지 견해
2. 우울증, 의처증/의부증
3. 비만인들의 뚱뚱할 자유 그리고 금연 권하는 사회
ㆍ금연을 권하는 사회
4. 감정 없는 의료와 인간적 의료
ㆍ감정 없는 현대의학
ㆍ통합적, 인간적 의학 주장자들의 현대의학 비판
2장 과학이란 무엇인가
1. 과학은 인류의 큰 선물
ㆍ미신을 넘어서는 과학의 방법
ㆍ과학의 개방성
ㆍ과학의 독특한 얼굴들
2. 물리학자보다 한발 더 나가는 생물학자
ㆍ생물학과 인문학 그리고 통섭
3. 계몽주의에 대한 애증
ㆍ계몽주의에 대한 반발, 낭만주의 그리고 탈근대주의
3장 과학을 불쾌해하는 인문학
1. 하늘에서 선물 받은 진리노트
2. 인간의 존엄성을 해치는 과학
3. 자유라는 매혹
4. 과학도 하나의 이야기
4장 과학자가 반박하는 인문학의 문제점
1. 총독과 원시인의 대화
2.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ㆍ유전자 기계로서의 인간
ㆍ인간의 윤리에 대한 생물학적 관점
ㆍ자유와 존엄을 넘어서려는 행동주의
3. 전체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한가
ㆍ전체성과 인식의 문제
ㆍ전체성의 한계
4. 과학전쟁과 소칼의 《지적 사기》
ㆍ과학전쟁이란?
ㆍ《지적 사기》의 논지
ㆍ소칼의 포스트담론 비판
ㆍ정치적 진보가 상대주의를 만났을 때
5. 임상의학의 현장에서 만나는 과학과 인식론적 상대주의
5장 두 문화의 소통이 불가능한 이유-결론Ⅰ
1. 가장 소중한 것을 결정하기
2. 자유는 영원한 인간의 꿈
ㆍ환원 불가능한 인간 존엄의 조건 - 인문학의 자유A
ㆍ무지로부터의 해방, 앎의 추구 - 과학의 자유B
ㆍ스피노자와 과학에는 같은 피가 흐른다.
ㆍ인문학적 자유A의 난점에 대하여
3. 소통불가능의 구조1-소급 불가능한 기본전제
4. 소통불가능의 구조2-화해할 수 없는 믿음들
6장 마치 우리가 자유로운 존재인 것처럼-결론Ⅱ
1. 파우스트가 보여주는 역설적 희망
2. 인문학적 자유A의 과학적 탐구
ㆍ권위에 대한 복종과 불복종
참고서적
감사의 말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