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오늘날 대중문화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셀러브리티 문화의 기원과 거대 산업으로 성장한 과정을 살펴본다. 또한 로열 패밀리에서 스포츠 스타, 배우와 가수, 예술인에 이르기까지 10인의 셀러브리티를 통해 오늘날 명성의 탄생과 소비 과정을 탐색한다.
목차
서문
Part 1 셀러브리티 전성시대
1 메가트렌드가 된 셀러브리티
새로운 계급의 탄생
셀러브리티의 조건
애증의 대상
Celebrity에서 elebrity로
정보 민주화와 라이프스타일의 공유
2 셀러브리티의 기원과 발전과정
왕실 : 셀러브리티의 복고적 완성
헐리웃의 여왕에서 진짜 왕비가 된 그레이스 켈리
헐리웃 스타 시스템의 초석을 다진 칼 레믈리
추앙에서 소비의 대상으로
마릴린 먼로 : 헐리웃이 낳은 원조 ‘섹시 셀러브리티’
03 TV 시대로 본격화된 셀러브리티 대중화
TV의 등장으로 본격화된 셀러브리티 문화
대관식과 가 이끈 TV의 대중화
‘○○ 현상’의 효시, 파라 포셋
TV 셀러브리티의 표본 , 오프라 윈프리
TV 시스템이 만들어낸 첫 성공사례, 바바라 월터스
4 미디어 빅뱅과 셀러브리티 전성시대
그래픽 디자인을 앞세운 패션지의 등장
셀러브리티 문화의 산파, <피플>
슈퍼마켓 저널리즘, 타블로이드
가까이하기엔 너무 먼 존재, 파파라치
<아메리칸 아이돌>의 성공과 리얼리티 쇼 전성시대
연예전문 사이트의 급성장
새로운 셀러브리티 미디어로 각광받는 SNS
Part 2 유형별 셀러브리티
왕실 셀러브리티의 종결자, 다이애나
헐리웃의 악동, 톰 크루즈
뮤직 비즈니스 3.0 시대를 연 ‘힙합 제왕’, 제이지
축구보다 외모, 데이비드 베컴
스캔들 셀러브리티의 위용, 패리스 힐튼
벼락부자의 아이콘, 도널드 트럼프
정치 셀러브리티의 원조, J. F. 케네디
최고의 완판녀로 등극한, 케이트 미들턴
셀러브리티 브랜드의 원조, 마샤 스튜어트
거부 예술가의 탄생, 데미안 허스트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