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교실 토론의 길잡이. 토론에는 일정한 규칙과 형식, 과정이 있어 이를 다룰 줄 아는 사람이 필요하고, 규칙과 형식이 갖춰진 토론을 교실 현장에 적용시켜야 하며, 무엇보다 현 교육과정과 토론을 연계시켜야 한다. 이 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번역, 출간되었다.
목차
추천사
서문
1장 교육 방법으로서의 토론
정보화 시대에 대한 비판적 옹호
토론의 정의
사회에서의 토론
일상생활에서의 토론
토론에 대한 오해
토론의 개념적 구성요소
교육적 경험을 증진하는 토론 기법
이 책의 활용법
부록: 토론의 가치를 담은 글
2장 토론 과정의 이해
자료 탐색과 쟁점 발견
자료 조사
토론 메모 정리
논증의 구성
입론의 구성
상대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분석
의사 결정
구어 의사소통 기능
듣기
결론
부록: 토론의 열 가지 원리
3장 교실 토론의 목표
교과 내용에 대한 관심
교과 내용의 쟁점 토론
옹호 지향 교육
설득 기능 학습
비판적 사고 학습
긍정적인 교실 분위기 조성
새로운 유형의 지식 창출
토론의 즐거움
결론
부록: 토론의 가치-학생에게 보내는 편지
4장 교실 토론의 다양한 형식
토론 형식의 선정
입문 단계의 토론 형식
팀 토론
토론 형식의 다양한 변형
기타 변형 형식
결론
부록 1: 토론 형식 예시
부록 2: 토론 형식 선택
5장 교실 토론의 논제
토론의 장을 마련해 주는 논제
논제 구성의 지침
논제의 유형
결론
6장 학생과 함께하는 교실 토론 준비
토론 기술과 실제에 대한 간략한 소개
쟁점의 발견
말할 내용의 조직
기본적인 구어 의사소통 기능의 향상
기본적인 메모 기술
질의와 응답의 기술
토론 판정 방법
찬성 측 입론 준비
반대 측 반론 준비
토론 전 협의
토론자를 위한 온라인 지원
결론
부록: 성공적인 토론자를 위한 제안
7장 교실 토론의 전개
교실 토론의 일정 계획
교실 배치
토론에 대한 안내와 경고
준비 시간
중간 휴식
토론 후의 토의
토론 녹화
외부 참관자 초대
토론 홍보
우수 학생의 토론 공개 행사 준비
학생의 교실 외부 토론 참여
결론
8장 청중의 참여
청중으로서의 학생
학생 청중과 메모
심판과 비평가로서의 학생들
청중 투표
청중 질의
청중 발언
매체 역할 담당하기
투표 결과 발표
결론
9장 교실 토론의 평가
평가의 목적
평가 도구
결론
부록 1: 평가표
부록 2: 토론 투표 양식, 체크리스트 형식
10장 공개 토론의 개최
공개 토론의 힘
공개 토론 참여 설득
계획 단계
교사를 위한 조언: 문제 해결
기록
공개 토론의 예시
결론
11장 교과 영역별 토론 활용
문학
역사
철학
종교
교육
외국어
법률
사법 제도
시사(時事) 문제
국제 관계
국민 윤리, 정치, 정부
경제
사회학
사회 복지
다문화
여성학
매체 연구
수학
과학
과학 기술과 사회
환경학 및 지구 과학
지리
예술
스포츠와 레크리에이션
참고문헌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