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년 이상『자본』을 강의해온 저자가 이 어려운 고전적 저작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쓴 입문서이다. 2012년 8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약 7개월 동안 『경향신문』에 연재한 것을 바탕으로 하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두 배 가까이 늘어난 분량으로 선보인다.
지은이의 말 프롤로그- 지금 『자본』을 읽어야 하는 이유 힐링이 대세 대박의 약속과 돌아온 환멸 경제는 하나가 아니다 『자본』의 기구한 운명 두 얼굴의 마르크스 : 실패한 마르크스와 돌아온 마르크스
1 서문 : 혁명에 사로잡힌 물음 『자본』의 안내판 혁명을 성공으로 이끈 힘은 어디에서 왔을까 혁명이 실패한 원인 『자본』을 읽는 방법, 주의사항
2 상품과 화폐 상품의 두 요소, 사용가치와 가치 상품에 나타난 노동의 이중성 가치형태와 화폐
3 화폐가 자본으로 전화 자본유통과 그 모순 노동력의 구매와 판매
4 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노동과정과 가치증식과정 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5 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상대적 잉여가치의 개념 협업, 분업과 매뉴팩처 기계와 대공업 : 공장과 기계 대공업에 의한 매뉴팩처, 수공업, 가내공업의 혁명
6 임금 임금 논의의 위치와 한계 자본주의의 지속 가능성과 임금의 기능 임금의 관리와 물신성 임금관리에 대응하는 개념, 임금의 교섭
7 자본의 축적과정 단순재생산, 잉여가치가 자본으로 전화 자본주의적 축적의 일반법칙 본원적 축적
8 자본의 순환 제2권을 읽어야 할 이유 제2권을 읽어나가는 길잡이 순환과 자본의 형태변화 순환에서 드러나는 교환의 모순
9 자본의 회전 회전과 고정자본 및 유동자본 고정자본을 둘러싼 혼동 잉여가치의 유통과 화폐 부족 문제
10 사회적 총자본의 재생산과 유통 사회적 총자본의 재생산 기존 경제학의 관점 사회적 재생산의 모순
11 잉여가치가 이윤으로 전화 베짱이의 뻔뻔함은 어디에서 오는가 제3권의 의의와 분배 문제의 진실 소득분배의 출발점 : 잉여가치에서 이윤으로 이윤율과 잉여가치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