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추천사
머리말
1부 식민사학의 실체와 고대조선사
1장 | 식민사학, 무엇이 문제인가?
1. 우리를 위협하는 안보 환경
우리나라의 3대 안보 위협
일본 국수주의와 한·일 관계
중국의 동북공정과 한·중 관계
2. 일제의 역사 침략과 식민사학의 실체
일제가『조선사』35권을 편찬한 이유
일본이 추진한 한국사 왜곡의 핵심
3. 우리 역사의식의 현주소
2장 | 식민사학으로 왜곡된 고대조선사 바로 알기
1. 패수 위치 논쟁과 한사군
식민사학의 첫 단추는 고대조선사 부정
사료가 말하는 고대 한·중
국경선, 패수
역사학계의 패수 위치 논쟁
2. 만리장성이 말하는 요하문명의 성격
3. 단군은 신인가, 역사 속 인물인가?
2부 한국 고대사 체계 검토
1장 | 한국 고대사 논쟁의 세 가지 핵심 쟁점
한국 고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세 가지 논란
2장 | 한국 고대사 체계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
1. 단군조선 - 기자조선 - 위만조선 - 한사군 체계
2. 한씨조선 - 위씨조선 - 한사군 체계
3. 예맥조선 - 위만조선 - 한사군 체계
4. 고대조선 - 열국시대 체계
3장 | 사료를 통해 보는 고대조선
1. 한국 측 사료
사료의 한계
『삼국유사』
『제왕운기』
2. 중국 측 사료
사료 이해의 한계
『사기』의 서술 체제
3. 일본의 낙랑 유적 조작과 한사군 위치 왜곡
조작 배경
한사군 위치를 왜곡하기 위한 봉니 조작
4. 기자와 기자조선에 대한 여러 해석들
기자의 망명과 건국 사실 부정
기자의 망명과 건국 사실 긍정
5. 기자국, 위만국, 한사군의 위치와 한국 고대사 해석
한국 고대사 해석에 미치는 영향
기자국의 위치
위만국의 위치
한사군의 위치
패수와 왕험성 위치
4장 | 고고학으로 밝히는 고대조선의 실체
1. 고고학적 연구 성과와 해석의 한계
2. 요하문명의 주인은 누구인가?
3. 신석기시대 한민족 형성
4. 청동기시대 고대국가 형성
5장 | 다시 쓰는 한국 고대사 체계
1. 한국 고대사 인식상의 오류
조선시대 한국 고대사 인식
국사교과서의 한국 고대사 서술
2. 도표로 보는 한국 고대사 체계
3부 국사교과서의 고대조선사 서술 분석
1장 | 국사교과서 분석의 기준
국사교과서의 검토 목적과 방향성
홍익민족주의 이념의 이해
2장 | 고대조선 건국에 대한 내용 분석
1. 고대조선 실재성에 대한 논란
2. 잘못 엮어진 교과서 내용과 역사 용어
한민족이 최초로 세운 나라 이름은 고대조선
고대조선의 존속 기간과 기원에 대한 인식
단군왕검사화와 고대조선
고대조선 건국에 대한 인식
3장 | 청동기시대 진입 연대에 대한 내용 분석
1. 청동기시대 진입 연대
2. 불합리한 교과서 설명과 연대 설정
중석기시대에 대한 설명
청동기시대 유물과 유적에 대한 설명
서기전 10~서기전 7세기경 청동기시대 진입
서기전 2000~서기전 1500년경 청동기시대 진입
4장 | 기자국과 위만국, 한사군에 대한 내용 분석
1. 위치와 성격에 따른 한국 고대사 해석
2. 고대사 왜곡으로 이어지는 교과서 서술
위만의 역할과 한사군의 위치
기자국, 위만국, 한사군의 위치와 성격
연나라 사람 위만의 고대조선 통치와 멸망
성립할 수 없는 ‘위만왕조의 고조선’설
5장 | 국사교과서 개편 방향
국사교과서 고대사 부분 검토 결과
4부 한민족의 기원, 단군왕검사화
1장 | 건국 사화에 대한 이해
건국 사화는 민족 구성원 모두의 보편적 상식
2장 | 인류 문명의 변천 과정
1. 신화와 인류 문명의 관계
2. 남북한 지역의 무리사회 유적
3. 정치권력의 등장과 초기 고대국가 형성
3장 | 역사학적 관점에서 분석한 단군왕검사화
1. 단군왕검사화 형성 시기에 대한 논란
2. 국사교과서에 실린 단군왕검사화 내용
3. 도표로 보는 단군왕검사화
4. 단군왕검사화의 체제 분석
5. 고대조선의 역사적 실재성
법의 존재 여부
청동기시대 진입 여부
4장 | 단군왕검사화의 역사적 의의
1. 민족 사화의 역사화 작업
2. 민족의 기원이자 사상과 문화의 원형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