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 머리말
2. 배경
2.1 음악사 개관
2.1.1 음악의 기원
2.1.1 고대
2.1.3 중세
2.1.4 르네상스 시대
2.1.5 바로크 시대
2.1.6 고전주의 시대
2.1.7 낭만주의 시대
2.1.8 20세기
2.2 과학사 개관
2.2.1 과학의 기원
2.2.2 고대
2.2.3 중세
2.2.4 르네상스 시대
2.2.5 과학혁명기
2.2.6 고전과학 시대
2.2.7 현대
3. 사변적 음악에서 음악 과학으로
3.1 천구의 음악
3.2 소리 과학의 탄생
3.3 옥스퍼드에서 음악과 과학의 만남
3.3.1 17세기 영국의 정치 상황
3.3.2 옥스퍼드에서 과학과 음악의 상호작용
4. '음향학'의 출현과 진동체 이론의 발전
4.1 '음향학'의 출현
4.2 조합음의 발견
4.3 정률의 문제와 라모의 화성학
4.4 진동체 이론의 전개
5. 낭만주의, 산업, 과학
5.1 낭만주의와 과학
5.2 실크 제조, 음악, 과학의 만남, 샤이블러의 연구
5.3 영과 조합음의 맥놀이 이론
6. 진동과 음악
6.1 진동학의 발전
6.2 레일리의 음향학
6.3 음악 교육에서 음향학의 지위
7. 기구의 변천
7.1 음악에서 과학으로 간 소리굽쇠
7.2 음악에서 과학으로 간 공명기
8. 음악의 과학적 설명: 헬름홀츠의 음악 음향학
8.1 헬름홀츠의 경력
8.2 부분음과 조합음 이론의 수립
8.3 공명기와 청각의 공명 이론
8.4 악음의 아름다움의 과학적 설명
9. 음악의 표준화
9.1 표준화의 시대
9.2 박자의 표준화
9.3 음고의 표준화
10. 악기 제작과 과학
10.1 엘리스의 음악 음향학 연구
10.2 엘리스와 힙킨스와의 공조
10.3 제작자와 과학자의 관계
11. 미국에서의 음악과 과학
11.1 음악 산업의 출현
11.2 메이어의 연구의 음악 음향학적 가치
11.3 미국에서 기준 음고의 변화
11.4 미국에서 음향학의 교육적 가치
12. 맺음말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