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동시대의 다양한 영화, 소설, 사상, 문화 현상 등을 총망라하며 우리 시대가 '현실에서 삶으로의 전환'이라는 거대한 변화 속에 있다는 걸 밝혀낸다. 이 책의 미덕은 한국 저작으로서 보기 드물게 폭넓은 통찰과 독자적인 주장을 보여준다는 데 있다.
목차
머리말
1부 청춘, 시대와 개인의 핵심적 토양
1장 삶의 은유로서 청춘, 그것을 둘러싼 이 시대의 담론들
삶의 은유로서 청춘
열정 멘토와 체제 비판자
현실의 담론
삶이 사멸된 세대
삶과 현실
낭만이미지와 현실이미지
2장 안과 밖, 나와 적
현실의 실체
안으로부터의 혁명
3장 우리 시대 청춘의 얼굴
잉여
냉소주의와 허무주의
스펙 쌓기에의 강박
4장 주인자아와 노예자아
주인자아와 노예자아
제3의자아
우리 시대와 청춘
5장 삶-현실의 지속으로서 인생
실존주의
낭만이미지
이상의 이면
삶의 길
지속으로서의 삶-현실
삶의 중지로서 진정성 담론
성실성
2부 나와 타인, 그 떼려야 뗄 수 없는 삶의 진실성
1장 몇 가지 확인하고 갈 사실들 - 원자, 타자, 타인
원자화
타자
타인
2장 가치론적 투쟁의 시대
자유주의, 우리는 각자의 길을 가진 원자다
호혜주의, 우리는 함께 살아가야 할 이웃이다
타자환원주의, 이 세계는 통째로 잘못되었다
삶의 확대, 서로의 삶의 복권을 도모해야 한다
3장 비관과 낙관, 나와 타자 사이에서
네 가지 세계관
비관론
염세주의와 타자환원주의
낙관론
자유주의와 호혜주의, 삶의 확대
4장 당신, 당신이 있어야 한다
삶의 구축과 타인
당신과 나, 그 삶의 힘
가족, 특별한 사랑의 공동체
5장 너와 나를 묶어주고 삶을 지켜줄, 하나의 미의식
제3의시선
삶의 정립과 제3의시선
미의식의 결핍
품위
3부 분열된, 그 참을 수 없는 현대
1장 버려진 자아와 도덕
우리의 분열
근대와 현대
현대의 병폐
2장 감정과 언어의 간극
현대의 근대 살해
감정에 치우침
공적 언어
문제는 신이다
3장 분열의 극복
죽음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죽음의 역사
죽음, 그 이후
제3의직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