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은이의 말
제1부 유가의 자연철학
제1장 주희 사상 속에서의 ‘기’와 ‘심’
1. 머리말
2. 기
3. 심
4. 기와 심
5. 맺는 말
제2장 이황의 리기관과 신유학 전통 상에서의 그 위치
1. 이황의 리기관
2. ‘주리적’ 성격과 리-기 구분
3. 이황의 리기관과 주희
4. 주희의 ‘리’ 개념의 특성
5. 주희의 리기관
6. 주희 리기관으로부터의 벗어남: 리의 실재화
7. 후기
제3장 주희의 격물치지 이론에서 ‘유추’의 방법
1. 격물: 리와 마음
2. ‘관통’의 문제: 개별 리들로부터 하나의 리로
3. 알고 있는 것으로부터 알지 못하는 것으로의 ‘유추’
4. ‘유추’의 단계들: 지식의 시작으로부터 지식의 도달에 이르기까지
5. 완벽하고 철저한 이해에 기반한 ‘유추’
6. ‘관통’을 향한 느리고 점진적인 과정 속에서의 ‘유추’
제2부 유가 전통 속의 과학
제1장 자연세계와 과학지식에 대한 주희의 태도
1. 머리말: 주희의 자연지식
2. 주희의 자연세계
3. 기본 개념들과 개념틀들
4. 전문 과학지식에 대한 주희의 태도
5. 주희와 중국 과학의 발
제2장 과학적·초자연적 주제들에 대한 주희의 태도
1. 유가 학문에서 과학 및 초자연적 주제들의 위치
2. 표준 문헌들의 확립
3. 초자연적 주제들의 정당화
4. 초자연적 주제들의 포괄: 이상한 사물들과 현상들에 대한 설명
5. 지적 도전, 자신감, 그리고 고대에 대한 존경
6. 유가 학문의 범부 확장
제3장 미신과 술수에 대한 정약용의 태도
1. 머리말
2. 주희
3. 이익
4. 미신과 수술에 대한 정약용의 태도
5. 맺음말: 주희, 이익, 정약용
제4장 조선 후기의 지전설
1. 머리말
2. 조선 후기 학자들의 지전 관념
3. 동아시아에서의 지전 관념
4. 조선 후기 지전 관념의 가능한 출처 및 근거들
5. 조선 후기 지전 관념: 서양으로부터의 수용인가, 독자적 창안인가?
6. 맺음말
제3부 사회적·문화적 맥락들
제1장 전통시대 중국 사회의 학자들과 전문 과학기술지식
1. 전문가가 되는 것을 경계하는 경전의 근거들
2. 전문분야들에 대한 학자들이 관심을 고무하는 요소들
3. 전물 과학기술지식에 대한 학자들의 관심
4. 제한된 ‘수렴’
5. 서양의 상황과의 비교
6. 맺음말
제2장 전통 중국에서의 과학과 종교
제3장 전통 중국의 과학과 관료제
1. 전통시대 중국에서 관료제는 과학의 발달을 ‘억제’했는가?
2. 문화 간 비교의 문제들
3. 중국의 과학과 관료제에 대한 연구를 위한 새로운 관점들
4. 맺는 말: 새로운 연구 주제들과 질문들
수록 논문 원게재지
찾아보기